"점심 5천원이면 된대" 다시 몰린다…외식 '1.5만원' 시대 효자 메뉴

햄버거 시장 올해 5조원 돌파
롯데리아 연매출 1조 복귀
김밥도 1만원…버거는 5000~6000원

냉면과 비빔밥 등 주요 외식 메뉴 가격이 1만원을 훌쩍 넘기면서 직장인들의 점심 선택지가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외식물가가 치솟는 동안 상대적으로 가격 방어에 성공한 햄버거가 '가성비 점심'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5000~7000원대로 한 끼를 해결할 수 있는 데다 프리미엄 메뉴 확장까지 더해지며 국내 햄버거 시장은 올해 처음으로 5조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지난 10월 기준 냉면 평균 가격은 1만2423원, 비빔밥 1만1577원, 삼겹살 2만673원, 삼계탕 1만8000원으로 대부분 품목이 1년 사이 4~6% 올랐다.

지난 10월 기준 냉면 평균 가격은 1만2423원, 비빔밥 1만1577원, 삼겹살 2만673원, 삼계탕 1만8000원으로 대부분 품목이 1년 사이 4~6% 올랐다.




24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국내 햄버거 시장은 2014년 2조1000억원에서 2024년 4조2000억원으로 10년 사이 두 배 가까이 성장했다. 올해는 5조원 돌파가 유력하다. 롯데리아, 버거킹, 맥도날드, 맘스터치 등 주요 브랜드들은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는 동시에 수제버거·프리미엄 치즈·지역 특산물 등을 활용한 신메뉴로 '외식 대체재'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롯데리아를 운영하는 롯데지알에스(GRS)는 2017년 이후 8년 만에 '매출 1조 클럽' 복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지난해 매출 9954억원을 기록했으며, 회사 측은 "다음 달 중 매출 1조원 돌파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점심 5천원이면 된대" 다시 몰린다…외식 '1.5만원' 시대 효자 메뉴
외식 물가 부담 속 햄버거, '가성비 점심'으로

전문가들은 햄버거 시장의 성장세를 단순한 트렌드가 아닌 소비 패턴 변화의 결과로 해석한다. 이채린 한국은행 경제조사팀 과장은 '외식산업 수익구조 변화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코로나 팬데믹 이후 소비문화가 집단적·이벤트형 소비에서 개인 취향 중심 소비로 이동했다"며 "외식비 부담이 커지면서 간편식·저가 메뉴로 식사를 대체하는 소비가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외식비 부담은 외식업 구조에도 직격탄을 날리고 있다. 핀테크 기업 핀다의 상권 빅데이터 플랫폼 '오픈업'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외식업체 81만8867곳 가운데 17만6258곳이 폐업했다. 폐업률 21.52%로, 외식업체 다섯 곳 중 한 곳이 문을 닫은 셈이다. 지난해 폐업 건수는 코로나19 영향이 컸던 2020년(9만6530곳)보다 82% 증가했다.

재료비·인건비·임대료가 동시에 상승하면서 영세 자영업자의 비용 부담이 한계에 다다른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경기 불확실성이 겹치며 소비자들은 외식 빈도를 줄이고, 선택할 때는 '가격 대비 만족도'를 따지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점심 5천원이면 된대" 다시 몰린다…외식 '1.5만원' 시대 효자 메뉴

외식 가격 오름세도 이어졌다. 행정안전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월 기준 냉면 평균 가격은 1만2423원, 비빔밥 1만1577원, 삼겹살 2만673원, 삼계탕 1만8000원으로 대부분 품목이 1년 사이 4~6% 올랐다. 김밥(3646원), 칼국수(9846원), 김치찌개 백반(8577원) 등 이른바 '서민 메뉴'도 예외가 아니다. 서울 강남의 분식집에서는 김밥 한 줄 가격이 7000~1만원에 달한다.


주요 외식 메뉴 가격이 1만원을 훌쩍 넘기면서 직장인들의 점심 선택지가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주요 외식 메뉴 가격이 1만원을 훌쩍 넘기면서 직장인들의 점심 선택지가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유명 식당의 평양냉면·콩국수 가격도 각각 1만6000원으로 올랐고, 서울 종로의 한 식당에서는 삼계탕이 2만원을 기록했다. 반면 햄버거는 4000~9000원대에 형성돼 있으며, 점심 할인 시간에는 햄버거·감자튀김·음료 세트를 5000~6000원대에 먹을 수 있다.


외식업계 관계자는 "햄버거는 단품·세트·쿠폰 등 가격 선택지가 넓어 소비자 부담을 낮춰준다"며 "직장인 사이에서는 '빠르게 먹고도 충분한' 합리적 점심 대안으로 자리 잡았다"고 말했다.


버거 브랜드 고객 7% 증가
"점심 5천원이면 된대" 다시 몰린다…외식 '1.5만원' 시대 효자 메뉴

실제 업계 분석에서도 버거 브랜드의 고객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롯데리아·버거킹·맥도날드·KFC·맘스터치·써브웨이 등 상위 6개 버거 프랜차이즈의 3분기 고객 수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7% 늘었다. 같은 기간 치킨 프랜차이즈는 5% 역신장을 기록했다. 버거 소비자 가운데 20~30대 비중은 60%를 웃돈다.


면적(3.3㎡)당 평균 매출액도 증가했다. 비케이알의 햄버거 브랜드 버거킹의 가맹점 면적당 평균 매출액은 지난해 1611만원으로 전년(1599만원)보다 늘었다. 맘스터치도 1792만원에서 1949만원에서 8% 증가했다.


햄버거 업계 관계자는 "식사 대용으로 햄버거를 찾는 소비자가 꾸준히 늘고 있다"며 "프리미엄 브랜드의 등장이 기존 시장을 잠식하기보다는 전체 시장 규모를 키우는 구조로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유명 셰프와의 협업, 프리미엄 재료 도입 등 고급화 전략을 확대하며 햄버거가 단순 패스트푸드를 넘어 외식 대체재로 재평가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임혜선 기자 lhsr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