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국어 17번, 정답 없다" 포항공대 철학 교수 주장(종합)

칸트 '인격 동일성' 담은 고난도 문항
이충형 교수 "3번 정답일 수 없어"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17번 문항에 정답이 없다는 대학교수의 지적이 제기됐다.


19일 교육계에 따르면 포항공대(포스텍) 철학과 이충형 교수는 한 수험생 온라인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수능 국어 시험에 칸트 관련 문제가 나왔다고 해서 풀어 봤는데, 17번 문항은 정답이 없어 보였다"고 주장했다.

EBS와 학원가, 수험생 모두가 고난도 문항으로 꼽은 국어 17번은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의 '인격 동일성'을 다룬 지문을 읽고, 제시된 '갑'의 주장에 대한 적절한 반응을 고르는 문제다.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7번 문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7번 문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에서 갑은 "두뇌에서 일어나는 의식을 스캔해 프로그램으로 재현했다면, 본래의 자신과 재현된 의식은 동일한 인격이 아니다"라고 주장한다.


평가원은 이 문항의 정답을 3번으로 공개했다. 3번 선지는 "칸트 이전까지 유력했던 견해에 의하면 '생각하는 나'의 지속만으로는 인격의 동일성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갑의 입장은 옳지 않겠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이 교수는 "갑의 입장은 옳기에 3번은 정답이 될 수 없다"고 반박했다. 그는 지문 도입부에 제시된 '칸트 이전까지 유력한 견해는, 단일한 주관으로서 '생각하는 나'가 지속한다는 것이었다'는 문장을 근거로 들었다. 스캔 프로그램으로 재현된 의식은 '단일한 주관'이 아니기 때문에, 갑이 말한 '동일성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주장은 옳다는 설명이다.


이 교수는 또 "이 문제를 'a=b이고 a가 C면 b도 C다'라는 논리 구조로 단순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잘못된 풀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3번이 답이라는 주장은 겉보기 유사한 문구에 기대고 있을 뿐이며, 논리적 오류를 범한다"며 "문구의 피상적 유사성에 의존해 문제를 풀게 하는 방식은 교육 목적에 어긋난다"고 비판했다.


그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출제자가 'a=b이고 a가 C면 b도 C다'는 논증을 너무 간단히 적용한 듯하다"며 "지속성 개념 자체도 고등학생이 이해하기는 어렵고, 나 역시 지문 이해에 20분이 걸렸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해당 문항과 관련 있는 '수적 동일성' 개념을 적용해 쓴 수정란·초기 배아 관련 논문으로 '철학자 연감(The Philosopher's Annual)'의 '2022년 최고의 철학 논문 10편'에 선정된 바 있다.


독해·논리 강사 이해황 씨도 이 교수와 같은 의견을 유튜브 동영상에서 밝혔으며 "이 교수에게서 메일을 받고 면밀히 검토한 결과 동일한 결론에 도달했다"고 했다.





최서윤 기자 s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