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성 세균에 오염된 물과 음식 섭취로 인해 설사나 복통, 구토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장관감염증인 로타·노로바이러스 환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바이러스는 겨울철에 주로 확산하는데 낮은 온도에서도 살아남고 감염력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손잡이에 바이러스가 묻은 모습을 담은 AI 이미지
1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45주차(11월2∼8일) 그룹 A형 로타바이러스 환자는 모두 54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43주(24명) 이후 거의 2배 급증한 수치다. 45주차 환자 수로 보면 작년 같은 기간(34명)보다 58.8% 많다.
사람이 감염되는 로타바이러스에는 그룹 A~C형이 있는데,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된 것은 그룹 A형이다.
로타바이러스 감염증은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급성 위장관염이다. 주로 생후 6개월~2세 사이에서 많이 발생하지만, 모든 연령대에서 감염될 수 있다. 대부분 분변-경구 경로로 전파되는데 대부분 사람에서 사람으로 직접적으로 전파된다. 감염자의 분변에 오염된 변기, 손잡이 등을 만지거나 오염된 음식물·호흡기를 통한 간접 전파가 일어날 수 있다.
이 바이러스는 낮은 온도에서도 생존력이 강한데 이 때문에 겨울철 전파 위험이 높다. 또 바이러스 입자 100개 미만의 적은 양으로도 감염을 일으킬 수 있어 어린이집이나 병원, 산후조리원 등 같이 집단생활을 하는 곳에서는 환자 발생이 일어나기 쉽다.
감염 시 24~72시간의 잠복기를 거쳐 구토와 고열, 심한 설사 등의 증상이 4~6일 이어진다. 대부분 회복되지만 드물게는 심한 탈수로 사망할 수도 있다.
손 씻는 모습. 픽사베이
또 다른 바이러스성 장관 감염증 중 하나인 노로바이러스도 최근 환자 발생이 이어지고 있다. 45주차 노로바이러스 환자(69명)는 직전 주(77명)보다 줄었으나 작년 같은 기간의 환자 수(45명)보다는 53.3% 많다.
노로바이러스 역시 영하 20도의 낮은 온도에서도 생존할 수 있어 겨울철 전파가 활발해진다. 이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12~48시간 안에 구토, 설사, 복통, 오한, 발열이 나타난다. 대부분 후유증 없이 회복되지만 면역 기능이 저하된 환자는 증상이 오래가고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이들 바이러스 감염을 막기 위해선 개인위생이 중요하다.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씻고, 음식은 충분히 익혀 섭취하며, 환자가 사용한 공간과 물품은 반드시 소독해야 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