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젊은 직장인까지 정년 연장 필요성에 공감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고령층뿐 아니라 미래를 대비해야 하는 청년층에서도 경제적 불안이 주요 이유로 나타났다.
시니어 일자리 박람회에서 채용공고 게시대를 살펴보는 시니어 구직자들의 모습. 연합뉴스
비즈니스 네트워크 서비스 '리멤버'를 운영하는 리멤버앤컴퍼니는 직장인 1037명을 대상으로 '정년 연장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4%가 "정년이 연장돼야 한다"고 답했다고 19일 밝혔다.
정년 연장 찬성률은 연령대별로 모두 높게 나타났다. 60대(80.8%)와 50대(77.9%)에서 특히 높았지만 20대(67.9%)와 30대(70.4%)에서도 10명 중 7명이 찬성해 세대 전반이 정년 연장에 대해 공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상적인 정년을 묻는 항목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60.2%가 만 63∼65세가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정년 연장을 원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노후 생활 안정'(39%)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국민연금 수급 전까지 발생하는 소득 공백'(17.8%) 등이 뒤를 이었다.
다만 실제 제도 실행 방식에 대해서는 세대에 따라 시각차가 있었다. 20대 응답자의 28.6%는 성과나 직무 중심의 임금체계 개편을 최우선 과제로 봤고 40·50대는 고령 인력 재교육을 통한 생산성 유지(27%)를 더 중요하게 평가했다.
주대웅 리멤버 리서치사업실장은 "정년 연장 논의의 초점은 세대 갈등이 아니라 기존의 인사 시스템을 어떻게 근본적으로 개편할 것인가 하는 쪽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정년 연장은 이재명 대통령의 노동 분야 대선 공약이자 국정과제다. 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국민연금 수급 시점 변화에 맞춰 2033년까지 법정 정년을 현행 60세에서 65세로 단계적으로 늘리는 방안을 공약했고 정부도 이 대통령 당선 직후인 지난 6월 정년 연장을 위해 올해 안에 입법을 추진한다고 밝힌 바 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