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유·초·중·고교에서 급식·돌봄 업무를 맡고 있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지역별 '릴레이 파업'에 돌입함에 따라, 교육부와 각 시도교육청이 대응에 나섰다. 공백이 우려되는 돌봄 공급은 대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급식 운영 차질에 대비해선 빵 등의 대체식을 제공해 파업에 따른 학생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급식과 돌봄 등을 책임지는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처우개선을 촉구하며 2차 총파업에 돌입한 2일 서울 마포구 아현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대체식으로 준비된 빵과 떡, 주스 등을 먹고 있다. /문호남 기자 munonam@
19일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은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민주노총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국여성노조 등 3개 연합노조)가 예고한 총파업에 대비하기 위해 상황실을 설치하고 긴급 사안 발생 등에 적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당국은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측과 지난 8월부터 집단 임금 교섭을 진행했지만, 입장차를 좁히지 못해 협상이 결렬됐다. 연대회의는 임금 인상과 복리후생 개선을 요구했지만 교육당국은 예산 제약 등의 이유로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에 따라 연대회의는 오는 20일과 21일, 12월 4일과 5일 등 총 네 차례 릴레이 파업을 예고했다. 20일에는 서울·인천·강원·충북·세종, 21일에는 광주·전남·전북·제주에서 파업이 진행된다. 12월 4일에는 경기·대전·충남, 5일에는 경남·경북·대구·부산·울산에서도 추가 파업할 예정이어서 돌봄·급식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급식 운영과 관련해선 학교별로 대체식 등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돌봄 공백에 대해선 대체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며 특수교육은 단축수업 등을 통해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노동조합의 단체행동권을 존중하나, 학생들의 교육활동과 건강을 보호하고 학부모님들의 불편이 없도록 노사협의를 통해 합리적인 합의점을 조속히 찾길 기대한다"며 "안정적인 학교 운영에 만전을 기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