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3분기 글로벌 D램 점유율 34.8%…1위 탈환

"AI 성장 타고 메모리 가격 계속 오를 것"

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매출 기준 1위를 탈환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19일 시장조사기관 차이나플래시마켓(CFM)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D램 매출액은 전 분기 대비 29.6% 증가한 139억4200만달러를 기록했다. 시장 점유율은 34.8%로 확대되며 매출 기준 1위를 회복했다. CFM은 "3분기 삼성전자의 고대역폭메모리(HBM) 비트 출하량은 전 분기 대비 85% 증가했고 범용 D램 가격 상승 수혜로 매출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분석했다.

시장조사기관 차이나플래시마켓(CFM)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D램 매출액은 전 분기 대비 29.6% 증가한 139억4200만달러를 기록했다. CFM

시장조사기관 차이나플래시마켓(CFM)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D램 매출액은 전 분기 대비 29.6% 증가한 139억4200만달러를 기록했다. CFM

같은 기간 SK하이닉스는 D램 매출 137억9000만달러를 기록하며 점유율 34.4%로 2위에 올랐다. 3위 마이크론은 매출 89억8400만달러를 기록했고 시장 점유율은 22.4%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HBM 실적 부진으로 올해 들어 글로벌 D램 시장에서 SK하이닉스에 1위를 내줬다. 그러나 최근 HBM 사업 회복과 전체 메모리 가격 상승에 힘입어 정상 자리를 되찾았다. 올해 3분기 전체 D램 시장 규모는 400억3700만달러로 전 분기 대비 24.7% 성장했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낸드 시장에서도 매출 53억6600만달러를 기록하며 시장 점유율 1위(29.1%)에 올랐다. 이어 SK하이닉스가 35억3600만달러(19.2%), 키옥시아 20억4600만달러(16.5%), 웨스턴디지털 23억800만달러(12.5%), 마이크론 22억5200만달러(12.2%)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3분기 전체 메모리 시장 규모는 584억5900만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CFM은 "인공지능(AI)이 학습 단계에서 추론 단계로 전환되고 대형 클라우드서비스 업체들의 투자가 이어지면서 AI 데이터센터 메모리 수요가 급등하고 있다"며 "모든 분야에서 메모리 공급이 크게 부족하고 공급업체 재고도 감소하고 있어 가격이 전반적으로 오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