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이 반도체·인공지능(AI)·에너지·바이오 등 핵심 산업을 중심으로 2028년까지 128조원을 국내에 투자한다. 고용 규모도 현재 매년 8000명 수준에서 향후 최대 2만명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그룹은 첨단 산업 생태계 조성과 지역 균형 투자를 병행해 국내 투자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
SK그룹은 16일 한미 관세 협상 후속 관련 민관 합동회의 이후 "2028년까지 128조 원의 국내 투자를 차질 없이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그룹은 "AI, 반도체, 에너지, 바이오 등 그룹 주력사업을 중심으로 끊임없는 국내 투자 및 고용을 이어가 'AI 3대 강국' 비전을 비롯한 국내 산업발전에 동참할 계획"이라고 했다.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 강진형 기자
그룹은 특히 AI 확산과 메모리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반도체 투자를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이 과정에서 SK하이닉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투자 규모도 HBM(고대역폭메모리) 수요 급증과 공정 첨단화로 당초 계획보다 확대할 계획이다.
용인 클러스터에 계획된 4개 팹이 모두 완공될 경우 투자 규모는 6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팹 1기만 해도 청주 M15X 6기를 합친 수준의 초대형 생산라인으로, AI 시장 확대에 따른 고성능 메모리 공정 수요 증가가 설비 확충을 이끄는 배경으로 꼽힌다. 그룹은 반도체 수요와 업황에 맞춰 팹 건설 속도는 조절하면서 용인 클러스터 내 4개 팹 구축 계획은 예정대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SK하이닉스는 국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와 함께 8600억원 규모의 '트리니티 팹(Trinity Fab)'을 구축 중이다. 12인치 웨이퍼 기반의 개발·실증 플랫폼으로, 소부장 기업과 연구기관, 학계, 스타트업 등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비영리 재단 형태로 운영될 예정이다.
고용 확대도 병행된다. 현재 SK그룹은 매년 8000명 이상 신규 채용을 이어가고 있다. 그룹 내부에서는 반도체 팹이 완공될 때마다 최소 2000명 이상의 추가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팹 규모와 가동 속도에 따라 팹 1기당 직·간접 고용효과는 1만4000명에서 최대 2만명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AI 인프라 투자는 지역으로 확장된다.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는 AWS와 협력해 울산에 100MW급 하이퍼스케일 'SKAI 데이터센터'를 건설 중이다. 2027년 상업 가동 시 동북아 AI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SK그룹은 이와 별도로 오픈AI와 함께 한반도 서남권 AI 데이터센터 건립도 검토 중으로, 국내외 파트너와 협력해 AI 인프라 조성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