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3일 오후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을 방문해 AI 휴머노이드 'KAPEX' 시연회 현장에서 휴머노이드의 손을 잡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3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을 찾아 차세대 인공지능(AI) 휴머노이드 개발 현장을 점검한 자리에서 "데모(시연) 수준을 넘어 실제 산업 현장에서 작동할 수 있는 휴머노이드로 가야 한다"며 "중국이 치고 나가고 있지만 빠르게 투자하면 우리도 못지않은 로봇강국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현장은 정부가 이달 말 공개할 '과학기술 AI 국가전략' 발표를 앞두고 현장의 기술 수준과 전문가 의견을 직접 듣기 위한 자리였다.
배 부총리는 이날 KIST와 LG전자·LG AI연구원이 공동 개발 중인 한국형 AI 휴머노이드 'KAPEX' 시연을 참관했다. KAPEX는 LG AI연구원의 초거대 AI 모델 엑사원을 탑재해 스스로 학습·적응하는 능력을 갖춘 휴머노이드로, 사람 손과 유사한 로봇핸드로 정밀한 조작이 가능한 '지능형 동반자'를 목표로 개발되고 있다. 어깨·발목 액추에이터는 물론 손에 들어가는 소형 모터까지 90% 이상 국산 부품으로 구성된 점이 특징이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3일 오후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제2차 과학기술 AI 전략대화' 에서 '과학기술 AI 활성화 방안' 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시연 과정에서 배 부총리가 로봇의 손을 직접 잡아보자 연구진은 "고난도 물체 조작을 위해 손바닥의 자율도와 촉각 센싱을 대폭 향상했다"며 "가정이나 공장에서 사람을 대신할 피지컬 AI 로봇의 기반을 만든다는 목표"라고 설명했다.
이어 열린 제2차 '과학기술 AI 전략대화'에서 배 부총리는 한국이 피지컬 AI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데이터셋과 실제 산업 현장에서 작동 가능한 로봇 플랫폼 확보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그는 "휴머노이드 성공 여부는 결국 데이터를 얼마나 잘 모으고 확산 체계를 구축하느냐에 달려 있다"며 "정부와 함께 민간 기업도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배 부총리는 최근 방한한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의 논의를 언급하며 글로벌 협력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엔비디아는 한국이 소프트웨어뿐 아니라 제조·하드웨어 강점을 동시에 갖춰 피지컬 AI의 최적 파트너라고 평가했다"며 "중국이 빠르게 치고 나가는 상황이지만 지금부터 속도감 있게 투자하면 충분히 경쟁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삼성·SK·현대차·네이버와 추진 중인 GPU 26만개 공급 협약과 MOU도 언급하며 "한국 제조업 기반이 휴머노이드 경쟁력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날 전략대화 발표에 나선 권인소 KAIST 교수는 "후배 연구자들이 세계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석차옥 서울대 교수와 LG AI연구원, 나노포지AI 등도 바이오·소재 기반의 과학기술 AI 산업화 전략과 AI 연구동료 발전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과학기술 분야 AI 혁신 과제도 제시됐다. 배 부총리는 "한국이 노벨상을 받을 준비를 충분히 해왔는지 스스로 묻게 된다"며 "기초 연구 투자만으로는 부족하며, 이제는 연구 패러다임 자체가 바뀌었으니 분야별 'AI 연구동료(AI Co-Scientist)'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