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 대국민 공개 논의 공청회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2035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53~61% 감축으로 확정했지만, 기업들의 관련 연구개발 대응은 전기차와 이차전지에 쏠려있어 탄소중립 달성 기반이 취약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회장 구자균)가 13일 발표한 '국내 기후테크 기업의 R&D 현황 분석 및 시사점'에 따르면, 기후테크를 연구하는 기업은 2020년 대비 2023년 10.7% 증가했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13조4000억원으로 매출 대비 비중(3.9%)이 전 산업 평균(3.5%)을 웃돌았다. 기업당 연구개발비(83억 원)와 연구인력(23명)도 전 산업보다 높았다. 석·박사 연구원 비중 역시 51.2%로 전 산업(33.3%) 대비 월등했다.
양적 지표 성장과 달리 기술 불균형은 더 심해졌다. 전기차 분야의 연구개발비는 8조7000억원으로 전체의 64.9%를 차지했다. 반면 기후테크 ICT 분야는 48억원으로 전기차 대비 1818배 적었고, 연구인력 규모도 372배나 되는 격차를 보였다.
전기차와 이차전지를 합치면 전체 R&D 투자의 89%, 연구인력의 84%가 두 분야에 묶여 있는 상황이다.
기초연구 기반의 취약성도 확인됐다. 기후테크 기업의 기초연구 투자 비중은 7%로 전 산업 평균(10.8%)의 3분의 2 수준에 그쳤다. 최근 4년간 기후테크 분야에 투입된 정부 재원 비중 역시 1.6%에서 1.8%로 미미한 상승에 그치며 전 산업 평균(5.7%)을 크게 밑돌았다.
산기협은 이 같은 구조에서는 탄소중립을 위한 핵심 기술 확보의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전기차·배터리 중심의 투자 편중은 기후테크 생태계의 다변화를 막아 NDC 달성에도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보고서는 기후테크를 연구하는 기업연구소 보유 기업 1620개 사를 대상으로 기술 분야를 8개로 분류해 주요 R&D 지표를 분석한 결과다.
고서곤 산기협 상임부회장은 "현 구조로는 탄소중립 달성은 물론 글로벌 기술경쟁에서도 주도권을 확보하기 어렵다"며 ""정부는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기초연구 투자 확대와 함께 다양한 기후테크 분야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전략적 R&D 지원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