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교육청(교육감 김석준)은 올해보다 1966억원(3.7%) 증가한 5조5317억원 규모의 '2026년도 부산교육비특별회계 본예산안'을 부산시의회에 제출했다고 11일 전했다.
이 예산안은 '다함께 미래로, 앞서가는 부산교육'을 비전으로 ▲AI시대를 선도하는 인간중심 미래교육 ▲학력과 마음을 함께 키우는 맞춤교육 ▲교육활동을 지키는 안전한 부산교육 ▲지혜로운 미래인재로 성장하는 시민교육 등 4대 역점 과제에 중점을 뒀다.
부산시교육청은 AI·디지털 전환 대응을 위한 미래형 교육환경 구축에 총 931억원을 편성했다.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수업 혁신에 236억원, AI·디지털 교육 기반 강화에 162억 원을 투입한다. 또 교육정보화기금 515억원을 활용해 교원용 노후 PC 6800여대를 교체하고 학습용 스마트기기 2만4000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또 예술·독서·체육 활동에도 총 533억원을 배정해 학생들의 감수성과 균형 잡힌 성장을 지원한다.
중학교 자기주도학습 기반 조성(36억원), 맞춤형 학습지원(220억원), 그리고 사립유치원 무상교육 조기 시행(453억원) 등 학력·보육 지원 예산이 대폭 확대된다.
또 심리·정서 돌봄과 교육복지 정책에 4652억원, 특수·다문화 학생 지원에 286억원, 진로·직업 교육 확대에 168억원을 편성해 '학생 맞춤 통합지원 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교원의 교육활동 보호와 행정 경감을 위한 AI비서 'PenGPT' 기반 행정지원 시스템 구축이 본격화된다.
학교안전체험버스 도입(9억원), 재난·안전교육 및 안심환경 조성(443억원), 노후시설 개선(3384억원) 등 '안전한 학교 환경' 구축에 집중 투자한다.
역사·통일교육(32억원), 해양교육(49억원), 생태전환 교육(66억원) 등 부산형 시민교육 프로그램에 147억원이 투입된다.
시교육청은 학교운영비를 전년 대비 8.27% 증액하고 경직성 사업을 통합해 326억원을 추가 확보하는 등 학교 자율성과 재정 효율성을 동시에 높인다는 방침이다.
김석준 교육감은 "AI와 디지털 전환 시대를 대비해 학생 개개인의 학력과 정서 성장을 지원하고 안전한 교육환경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뒀다"며 "학생과 교직원이 함께 성장하는 미래형 부산교육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예산안은 11월 말부터 부산시의회 예비심사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사를 거쳐 12월 11일 본회의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부산시교육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