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 이 사회적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돕기 위해 자사 환경기술 역량을 내놨다. 재생 플라스틱으로 우산을 만드는 소셜벤처 '에이트린'이 만든 제품에 대한 전과정평가(LCA·Life Cycle Assessment)를 무상으로 지원한 것이다.
SK이노베이션은 전날인 4일 서울 종로구 서린빌딩에서 에이트린의 업사이클 우산 LCA 검증서 수여식을 열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평가 지원은 사회적기업이 친환경제품 인증과 해외 판로 개척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하도록 돕는 '프로보노(전문 재능기부)' 활동의 일환이다.
김일수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 기술전략실장(왼쪽부터), 정우재 에이트린 대표, 김우경 SK이노베이션 PR실장이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열린 '에이트린 제품 LCA 검증서 수여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
원본보기 아이콘전과정평가는 원료 수급부터 생산, 수송, 사용, 폐기에 이르기까지 제품의 생애주기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제도다.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는 ESG 기준 강화를 계기로 전과정평가 자료 제출을 요구하는 곳이 늘고 있다. 하지만 전문 인력과 비용이 필요한 만큼 중소·사회적기업이 자체적으로 대응하기는 쉽지 않다.
SK이노베이션은 2019년 환경과학기술원 내에 전과정평가 체계를 구축한 이후, 사회적기업진흥원과 협력해 LCA 전문 인력을 활용한 무상 컨설팅을 이어오고 있다. 올해는 평가 전문팀이 에이트린의 제품을 직접 분석하고, 글로벌 검증기관 DNV의 제3자 검증을 통해 객관성을 확보했다.
에이트린의 재생 플라스틱 우산은 분리수거가 용이하고 부품 교체가 쉬워 수명이 길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난 9월에는 우산 제품으로는 국내 최초로 환경부 환경표지 인증을 받았다.
김일수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 기술전략실장은 "전과정평가는 제품의 친환경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핵심 지표"라며 "SK이노베이션의 기술 역량을 사회적기업과 공유해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