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집중 암치료 격차 해소!… 부산시, 동남권 ‘양성자치료센터’ 구축 속도

3일, 기장군-동남권원자력의학원-BISTEP 업무협약

암 사망률 1위 오명 부산, 첨단 입자치료 허브 도약

부산시가 '암 사망률 1위 도시'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첨단 입자치료 인프라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시는 3일 해운대 그랜드 조선 부산에서 기장군,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BISTEP)과 함께 '양성자 치료센터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개최했다.

부산시가 기장군,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과 함께 '양성자 치료센터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개최했다.

부산시가 기장군,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과 함께 '양성자 치료센터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개최했다.

이 협약은 "동남권 첨단 암 치료 특화도시 조성"을 목표로 △양성자치료센터 구축 사업 추진 △지역 완결적 암 치료체계 확립 △소아·난치암환자를 위한 맞춤형 치료 기반 마련 △지역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성화 등 다방면의 협력을 담고 있다.

이날 협약식에는 박형준 부산시장, 정종복 기장군수, 이창훈 동남권원자력의학원장, 김영부 BISTEP 원장이 참석하며, 정동만 국회의원과 한국원자력의학원 이진경 원장이 축사를 전했다.


부산은 전국에서 암 발생률과 사망률이 가장 높은 도시로 꼽히지만, 양성자치료기 등 첨단 치료 장비는 모두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현재 국내 양성자치료기는 고양시 국립암센터와 삼성서울병원 두 곳에만 설치돼 있으며, 전체 방사선치료 대상자(연 8만명) 중 약 10%인 8000명이 해당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부산시는 이번 협약을 통해 '수도권 쏠림형 암치료 구조'를 해소하고, 환자들이 지역 내에서 정밀 암치료를 받을 수 있는 완결 의료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양성자치료센터는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내에 구축되며, 소아암·뇌종양·안면부 종양 등 정상조직 보호가 중요한 암 치료에 특화된다.


또 서울대병원 기장암센터에 구축 중인 중입자치료기와 연계될 경우, 부산은 국내 유일의 '첨단 입자치료 복합 클러스터'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중입자치료기는 주로 췌장암, 육종, 두경부암 등 수술이 어렵거나 재발성이 높은 고형암 치료에 쓰이며, 양성자치료기는 보다 정밀한 선량 조절로 정상세포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부산시가 의뢰한 '동남권 첨단 암치료 허브 구축 전략 용역' 결과에 따르면, 양성자치료센터 구축 시 생산유발효과 2512억원, 부가가치 778억원, 고용유발 1286명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박형준 시장은 "이번 협약은 부산이 암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첫걸음"이라며 "지역 환자들이 먼 서울로 가지 않아도 최첨단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동남권 완결의료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협약식 2부에서는 '입자치료를 통한 방사선의과학기술 발전과 클러스터 협력 방안'을 주제로 한 포럼이 열렸다.


부경대학교 손동운 교수가 좌장을 맡고 △서울대병원 손재만 교수 △한국원자력연구원 김민환 단장 △국립암센터 김학수 박사 △한국원자력의학원 김정영 실장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유도솔 부장 등이 발표자로 나서 입자선 기반 방사선의과학기술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영남취재본부 조충현 기자 jchyou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