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 26만장 이상을 공급받기로 약속받았다. 엔비디아는 삼성전자·SK·현대차·네이버 등 4개 기업과 국내 인공지능(AI) 경쟁력 확보를 위해 협력할 계획이다.
31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2시 경북 경주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황 CEO를 만나 국내 AI 생태계 전반의 혁신 방안을 논의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이해진 네이버 의장도 배석했다.
두 사람의 만남은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이뤄졌다.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대한민국의 목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수도'로 거듭나는 것"이라며 "최근 한국을 아·태 지역 AI 허브로 발전시키는 프로젝트에 블랙록, 오픈AI와 같은 글로벌 기업이 함께하기로 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엔비디아도 동참해 인프라·기술·투자가 선순환하는 AI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가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엔비디아는 국내 AI 인프라 구축을 위해 국내에 최신 GPU 총 26만장 이상을 정부 및 기업에 공급할 계획이다. 하드웨어 설치뿐만 아니라 구축·운용 기술 협업도 병행한다. 앞서 이 대통령은 대선 후보 공약으로 고성능 GPU를 최소 5만개 확보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삼성전자·SK·현대차·네이버 등 국내 대기업과의 피지컬 AI 기술 협력 계획도 밝혔다. 앞서 엔비디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대차와 국내 피지컬 AI 역량 고도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현대차와 엔비디아는 AI 자율차, AI 자율제조 등 피지컬 AI 기술개발 및 특화 인재 양성 추진을 함께한다. 네이버와는 클라우드 및 AI 기반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 등 모빌리티 산업 및 피지컬 AI 분야에서 경쟁력을 강화한다.
SK와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의 GPU를 이용해 생산 공정 개선을 위한 디지털 트윈 구축 등 피지컬 AI에 적극 투자한다. HBM 공급 확대 등 우리 기업과 엔비디아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도 논이 됐다.
엔비디아는 AI 기반 첨단 기술 개발을 위해 국내 산학연과의 기술 협력도 추진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등 연구기관과 국내 슈퍼컴퓨터 6호기(한강)의 양자 하이브리드 컴퓨팅 환경을 구축한다. 삼성전자, 통신 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세대와는 지능형기지국(AI-RAN) 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해 협력한다.
아울러 엔비디아는 AI 전문가, 엔지니어의 실습 중심 현장 교육 확대 등 국내 AI 인재 양성에도 중장기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또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추진 중인 '엔업(N-UP)' 프로그램 등 스타트업 지원도 지속한다.
이 대통령은 "엔비디아가 AI 혁신의 속도를 담당하고 있다면, 한국은 이 속도를 잘 활용해 혁신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라며 "오늘 논의된 협력 방안이 한국을 넘어 국제사회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성공 사례가 될 수 있도록 한국 정부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