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만 분의 1 확률' 길조 황금장어, 포획 한 달 만에 소양호로

지난달 소양강댐 중류서 발견돼
생태계 보전 위해 서식지에 방생

예로부터 '길조'로 여겨졌던 희귀한 황금 장어가 포획된 지 한 달 만에 고향으로 돌아갔다. 지난 30일 강원특별자치도는 오후 춘천 소양호 내평리 선착장에서 황금색 바탕에 검은 반점을 띤 '황금 장어' 1마리를 방생했고 밝혔다.

이 황금 장어는 길이 50㎝, 무게 500∼600g에 달한다. 일반 '자포니아' 품종으로, 색소 변이에 따른 '마블 장어'의 일종이다. 출현 확률이 수만분의 1에 불과한 황금장어 출현은 우리나라에서 예로부터 길조로 여겨왔다. 강원특별자치도

이 황금 장어는 길이 50㎝, 무게 500∼600g에 달한다. 일반 '자포니아' 품종으로, 색소 변이에 따른 '마블 장어'의 일종이다. 출현 확률이 수만분의 1에 불과한 황금장어 출현은 우리나라에서 예로부터 길조로 여겨왔다. 강원특별자치도

원본보기 아이콘

앞서 황금 장어는 지난달 28일 소양강댐 중류에서 소양호 어업계원인 김순일(64)·최병순(62) 부부가 조업 중 그물에 들어 있는 것을 발견해 도 내부면자원센터로 옮겨졌다. 이 황금 장어는 길이 50㎝, 무게 500∼600g에 달한다. 일반 '자포니아' 품종으로, 색소 변이에 따른 '마블 장어'의 일종이다. 출현 확률이 수만분의 1에 불과한 황금장어 출현은 우리나라에서 예로부터 길조로 여겨왔다.


전문가들은 "황금 장어의 생존과 안전, 지역 생태계 보전 등을 위해 원래 서식지인 소양호에 방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공통으로 냈다. 황금장어 최초발견자 김순일 씨는 "처음 황금장어가 그물에 들어와 있는 것을 보고 놀라움을 금할 수 없었다"며 "많은 분이 볼 수 있도록 내수면 자원센터로 이송했는데, 전문가 자문을 거쳐 살던 곳으로 가게 돼 반가운 마음"이라고 말했다.

박정호 생태계조사평가협회 대표는 "소양호에서 포획된 황금장어는 기후변화와 생물 다양성 감소 시대에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며 "황금장어의 소양호 발견은 생태교육 자원으로서도 가치가 크다"고 말했다. 최영숙 내수면자원센터 소장은 "황금 장어가 길조로 여겨지는 만큼 방생은 내수면 어민들의 풍어와 안전 조업을 상징하는 의미가 크다"며 "황금 장어가 수명을 다할 때까지 고향인 소양호에서 자유롭고 평화롭게 살아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