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윤석열 정부 시절 김건희 여사의 국정 개입 문제가 다시 관심사로 떠올랐다. 김 여사가 교육부 차관에게 전화를 걸어 교육 현안 등에 관여한 사실이 '의도치 않게' 드러났기 때문이다.
문정복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교육부 종합 국감 증인으로 출석한 장상윤 전 교육부 차관에게 "2023년 7월 20일 김 여사와 8분49초간 통화했는데 기억이 (남아) 있느냐"고 물었다. 이에 장 전 차관은 "기억은 있다"고 답했다. 문 의원이 김 여사 측근으로 알려진 김승희 전 대통령실 의전비서관 자녀 학교 폭력 사건 무마와 관련된 내용이냐고 재차 묻자, 장 전 차관은 "학교 폭력 얘기는 전혀 없었다"고 답했다.
통화 내용에 대한 추궁이 이어지자 장 전 차관은 "사회적 논란이 있었던 교육 현안들이 당시 많았다"며 "현안에 대해 우려했다"고 설명했다. 장 전 차관은 추가 질의답변 과정에서 서이초 교사 사망 사건 이후 교육부 대처와 대학수학능력시험 킬러문항, 대학 사무국장 개편 등이 통화 내용으로 다뤄졌다고 설명했다. 문 의원이 '김 전 비서관 자녀 학교폭력 관련 내용'으로 통화했는지 물어본 게 결과적으로 김 여사 국정 개입의 단면을 드러내는 결과로 이어진 셈이다.
이와 관련해 고민정 민주당 의원은 "장 전 차관은 '김 여사가 김 전 비서관 학교 폭력과는 전혀 무관하게 교육 현안에 대해 말했다'고 증언함으로써 김 여사의 국정 개입을 명확하게 확인해 줬다"고 했다.
김영호 국회 교육위원장(민주당 소속)은 "국회의원 부인이 아는 보좌진에게 전화해 이거 하라 하는 것도 정상이 아니라고 다들 생각하는데, 대통령 부인이 차관에게 전화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