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정세의 분수령이 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미중 정상회담이 30일 부산 김해공군기지 나래마루에서 시작됐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의 만남은 트럼프 2기 집권 이후 처음이다. 두 정상은 2019년 6월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회담한 이후 6년 4개월 만에 다시 마주 앉게 됐다. 이번 회담은 '관세 전면전' 이후 첫 직접 담판이라는 점에서 양국이 무역 충돌을 완화할지, 갈등이 심화할 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기념촬영을 하기 전 시 주석을 맞이하며 먼저 손을 내밀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 악수하며 "다시 보게 되어 기쁘다"고 인사를 건넸고 시 주석은 "저도 그렇다"고 화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매우 성공적인 회담을 할 것이며, 나는 의심하지 않는다"고 말한 뒤 시 주석을 향해 "매우 강경한(tough) 협상가"라면서 "그건 좋지 않다"고 농담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서로를 잘 안다. 항상 훌륭한 관계를 가져왔다"고 했으며, 이날 중국과의 무역협상에 서명할 수 있냐는 취재진의 질의엔 "그럴 수 있다"고 답했다.
이날 양국 정상의 모두발언은 미·중 간 협력과 관계 개선 의지를 강조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이미 많은 사안에 합의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은 합의를 이뤄낼 것이라 생각한다"며 "시 주석은 위대한 나라의 위대한 지도자이고, 우리는 앞으로도 오랫동안 훌륭한 관계를 유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 주석은 "여러 바람, 역풍, 도전과제가 있다고 해도 미중 관계는 올바른 길을 향해 동일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또 "미중 관계는 전반적으로 굉장히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국가 상황이 항상 다르기 때문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정상적인 것"이라고 했다.
미국과 협력하겠다는 뜻도 전했다. 그는 "중국은 미국과 협력할 준비가 돼 있으며, 미중은 친구가 돼야 한다"며 "중국의 발전은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Make America Great Again)' 비전과도 함께 간다"고 설명했다.
시 주석은 또한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전쟁 휴전 도출, 태국-캄보디아 간 국경 관련 협정 성과 등을 나열하며 "트럼프 대통령은 세계 평화에 진심이고, 세계 여러 핫스팟에 대해 관심이 지대하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중국과 미국은 세계 대국으로서 전 세계 사안에 대해 큰 책임을 지고 있는 두 국가라고 강조하며 "양국과 전 세계를 위해서 계속해서 기여하기를 원하며 양국과 세계에 중요한 사안들을 위해서 오늘 좋은 논의가 이어지길 바란다"고 했다.
두 정상은 모두발언을 마친 뒤 곧바로 비공개 회담에 돌입했다. 이번 미·중 정상회담의 핵심 관심사는 내달 중순 만료되는 초고율 관세 유예 조치의 연장 여부다. 중국이 최근 발표한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 조치와 미국이 예고한 대중국 100% 추가 관세의 유예 가능성에도 이목이 쏠린다. 앞서 양국 고위급 대표단은 지난 26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무역 회담에서 분쟁 완화 방안에 의견을 모은 바 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