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가 교육·균형발전 정책의 일환으로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대학생 10명 중 4명 이상은 "(해당 정책을) 알지 못한다"고 답한 조사 결과가 나왔다.
30일 한국대학신문에 따르면 지난달 26일부터 지난 5일까지 전국 대학생 1212명(한국대학신문 대학생 평가단 패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95% 신뢰수준에 최대 표본오차는 ±4.4%)에서 응답자 중 46.6%(거의 모름 27.8%, 전혀 모름 18.8%)가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한국의 극단적인 대학 서열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생 상당수가 해당 정책을 알지 못하고 있어, 정책 취지와 목표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새 정부의 전반적인 국정 운영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0.0%가 '보통'이라고 답했다. '잘하고 있다'는 평가는 28.9%, '잘못하고 있다'는 평가는 31.0%였다.
대학 정책이나 입시정책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도 44.6%가 '보통'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부정적 응답('그렇지 않다' 28.2%, '전혀 그렇지 않다' 12.8%)이 긍정적 응답('그렇다' 13.0%, '매우 그렇다' 1.4%)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대학·입시 정책과 관련해 가장 시급하게 개선돼야 할 분야로는 올해도 입시제도(39.9%)가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대학 서열화(25.8%)와 교권 확립·학습권 보호(20.2%)가 뒤를 이으며 여전히 교육 현장의 근본적 문제점들이 해결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대학 진학의 주된 목적을 묻는 질문에는 '취업에 유리한 조건 획득(43.2%)'이 1위로 꼽혔다.
'무전공 선발' 확대에 대해서는 57.2%의 대학생이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지난해보다 11.8%포인트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유학생 정주를 유도하는 정책의 실효성에 대해서는 대학생들의 38.8%가 '보통'이라고 답변했다.
사회 분야에서 가장 시급한 문제인 저출산 문제에 대해 묻는 질문에는 대학생의 절반 이상이 '잘 안다(54.6%)'고 응답했다. '매우 잘 안다(27.2%)'는 응답까지 합치면 총 81.8%가 저출산 문제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결혼해서 아이를 원한다'고 응답한 대학생은 51.2%에 그쳤으며, '결혼도 아이도 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23.8%에 달했다.
생활 분야에서 대학생들은 고액 재테크 투자 비율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학생 절반 이상인 54.2%가 "현재 재테크 중"이라고 했다. 이는 지난해 44.8% 대비 급증한 수치다. 특히 1000만 원 초과 고액 투자 비율은 17.0%로 전년 대비 4.6%포인트 올랐다. 이들의 주요 재테크 수단으로 주식 또는 펀드(47.6%)와 은행 예·적금(36.2%)이었으며, 해외 투자(8.8%)가 뒤를 이으며, 투자 대상의 다변화 경향도 짙어졌다.
또한 기업의 지속 가능한 경영 원칙인 ESG(환경·사회·지배구조)에 대한 인식이 확산하고 있었다. 지난해 조사에서는 ESG 경영에 대해 '들어는 봤지만, 정확히 알지 못한다(33.0%)'와 '들어본 적 없다(23.0%)'는 응답 비율이 70%에 달했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알고 있다'는 응답 비율이 70%를 웃돌았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