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내년 예산안 51.5조원… '약자' 정책에만 16조원 쓴다

오세훈 시장, 2026년도 예산안 발표
약자 정책 15.6조원… 급여지원에 4.7조
공공임대 2.4만가구, 1조원 넘게 투자
오 시장 "미래세대 빚 늘리지 않겠다"

서울시가 2026년도 예산안으로 총 51조5060억원을 편성했다. 서울시 핵심 정책 기조인 '약자와의 동행'에 더 집중하겠다는 의지로, 연계 사업에만 15조원을 넘게 투입한다.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발행으로 채무가 늘었지만 재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해 건전재정을 지켜내겠다는 게 서울시 방침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30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2026년도 예산안'을 발표하며 "미래세대가 갚아야 할 빚은 늘리지 않겠단 각오로 내년에도 시민 삶에 혁명을 가져다주는 정책을 키우겠다"고 밝혔다.

서울시 2026년도 예산안. 서울시

서울시 2026년도 예산안. 서울시

원본보기 아이콘

내년 예산안의 가장 큰 특징은 '약자'를 위한 정책에 예산을 집중 투입한다는 점이다. 전체 예산안이 올해보다 3조4000억원 가까이 늘어난 가운데, 약자동행 예산은 8000억원 늘린 15조6256억원을 배정했다. 오 시장은 "정부의 대규모 복지사업이 1조851억원 증가하는 등 국고보조 사업 예산이 크게 늘었지만 채무 규모는 늘리지 않고 건전재정 기조를 지켜냈다"고 설명했다.

4대 급여 지원에만 4조7645억원을 투입해 기초생활보장을 확대하고 돌봄SOS(361억원) 등을 더해 촘촘한 복지를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장애인 공공일자리 사업에도 589억원을 투입해 전년대비 383개 늘어난 5500개를 운영하고 어울림플라자(98억원), 체육센터(106억원) 개관 등으로 장애인 사회 참여 기회도 확대한다.


취약계층이나 청년, 신혼부부에게 안정적인 주거를 제공하고자 공공임대 2만4000가구 공급을 목표로 1조622억원을 투자한다. 오 시장은 "시가 주력하고 있는 재개발이나 재건축 활성화 정책을 힘 있게 추진해 양질의 주택을 빠르게 공급하겠다"고 덧붙였다.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노동취약계층을 위한 지원도 이어간다. 소상공인 종합지원(311억원)과 신규 융자 확대(487억원), 공공배달서비스 홍보·페이백(35억원)도 확대하고 '직접 일자리'를 전년대비 1만6000개 늘린 역대 최대 규모(22만5234개)로 운영할 예정이다.

집중호우, 지반침하, 화재 등 기후변화로 인한 도시 재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시민 안전 분야' 투자도 강화한다. 건설된 지 30년 넘은 상·하수관로 정비(4477억원), 노후 열수송관 교체(60억원), 지하철 1~8호선 노후시설물 교체(923억원) 등 기반시설 전반의 내구력을 높이고 점검 수단을 다각화하기로 했다.


디지털 안전 인프라(332억원), 스마트 화재감지 시스템(9억원) 등으로 사이버공격·디지털서비스 장애, 전기차 화재 등 새로운 위험 요소도 차단한다. 대심도 빗물배수터널 3곳 굴착, 빗물펌프장 신·증설 등 상습 침수 취약지역에 대한 구조적 해결책 마련도 본격화한다.


GTX-A 등 수도권 광역철도 및 도시철도 건설에는 6939억원이 배정됐다. 양재대로 등 주요도로 구조개선에 1495억원을 투자해 서울 시내뿐 아니라 수도권 전역의 생활권을 더 편리하게 연결한다는 구상이다.


시민들의 건강을 위한 예산이 세부적으로 배정된 점도 내년 예산의 특징 중 하나다. '손목닥터9988 2.0'을 비롯해 통곡물 섭취를 장려하는 '통쾌한 한끼' 식당 3000개소를 인증하는 데 6억원이 쓰인다. 외로움을 진단하고 상담하는 서울마음편의점에만 8억원을 투입해 시민의 정신 건강을 챙기기로 했다.


서울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미래 인재 육성 사업에도 예산을 쓴다. '인공지능(AI)·이공계 인재 양성'과 '산업 육성' 투자에 집중한다는 방침으로 청년취업사관학교, 이공계 장학금 등에 1315억원을, 미래산업 연구개발(R&D) 예산 497억원 중 100억원을 AI 분야에 넣는다.


서울의 새 랜드마크 조성에도 속도를 낸다. 2027년 운영을 목표로 남산 곤돌라 공사 및 활성화(170억원)에 본격 착수하고 노들섬 글로벌예술섬(287억원), 제2세종문화회관(210억원) 추진에도 집중한다. 오 시장은 "올해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으로 채무가 늘었지만 미래세대가 갚아야 할 빚은 늘리지 않겠단 각오로 건전재정 원칙을 지켰다"며 "세계가 인정하는 '프리미어 서울'을 향해 힘차게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 2026년도 약자동행예산. 서울시

서울시 2026년도 약자동행예산. 서울시

원본보기 아이콘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