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APEC]글로벌 경제 무대 들어온 디지털자산…두나무, 퓨처테크포럼 주최

공식 부대행사 '퓨처테크포럼' 디지털 자산 세션
오경석 대표 "디지털 자산, 기술과 금융 잇는 역할"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의 공식 부대행사인 '퓨처테크포럼: 디지털자산'을 주최했다. 퓨처테크포럼은 APEC CEO 서밋의 공식 부대행사인데, 실물 산업 중심으로 진행됐던 APEC 퓨처테크포럼에 디지털자산이 포함된 건 이례적이라는 설명이다.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30일 오전 경북 경주시 경주 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진행된 포럼에서 환영사를 통해 "디지털 자산은 더 이상 한정된 영역의 혁신이 아니라 기술과 금융, 시장과 사람, 지역과 경제를 잇는 다리 역할을 한다"면서 "오늘의 세션들은 다양한 관점에서 연결을 탐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주APEC]글로벌 경제 무대 들어온 디지털자산…두나무, 퓨처테크포럼 주최 원본보기 아이콘

이어 "디지털 자산 트랙의 주제인 '미래 금융의 연결'은 연결이야말로 진보의 토대라는 우리의 믿음을 반영한다"면서 "이번 포럼은 디지털자산을 넘어 미래 금융의 새로운 질서를 함께 만들어가는 논의의 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 대표는 "오늘의 모든 논의는 더 개방적이고 신뢰받는 금융의 미래를 만든다는 하나의 목표로 모인다"면서 "오늘의 논의가 새로운 아이디어와 협력, 연결을 촉발해 우리 모두가 개방성, 신뢰, 혁신이 중심이 되는 미래로 나아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환영사를 마쳤다.


기조연설에 나선 마이클 케이시 메사추세츠 공과대학(MIT) 미디어랩 디지털 화폐 이니셔티브 수석고문은 '스테이블코인, AI 그리고 프로그래머블 화폐: 글로벌 금융 시스템의 다가오는 대전환'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인공지능(AI)과 디지털자산의 결합이 금융 인프라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는 스테이블코인, 금융 포용과 같은 디지털자산 산업의 현안이 다뤄졌다. 첫 번째 세션인 '스테이블코인과 국경 간 혁신: 글로벌 금융과 규제의 가교'에서 패널들은 스테이블코인과 토큰화를 중심으로 국경 간 금융 인프라와 규제 협력을 다뤘다. 두 번째 패널토론 세션인 '금융 포용: 언뱅크드를 연결하다'에서 패널들은 디지털자산과 같은 기술 혁신이 금융의 문턱을 낮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마지막 세션 '제도화와 융합: 전통 금융과 디지털자산의 미래'에서는 오경석 두나무 대표와 대니 찬 마스터카드 APAC CISO, 마이클 호 아메리칸 비트코인 이사회 의장이 패널로 참여했다. 좌장은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암참) 회장 겸 대표이사가 맡았다. 참석자들은 금융과 디지털자산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상황에서 신뢰와 기술이 결합된 새로운 금융 생태계 구축이 핵심 과제라고 진단했다.


윤선주 두나무 최고브랜드임팩트책임자(CBIO)는 "이번 포럼은 디지털자산이 글로벌 경제의 핵심 산업으로 성장했음을 보여준 의미 있는 자리였다"면서 "한국을 대표해 업비트가 이 같은 국제무대를 주최하게 돼 뜻깊다"고 말했다.





경주=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