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그룹의 올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이 3조원에 육박했다. 견조한 순영업수익 성장과 보험사 인수 효과가 맞물리며 성장한 것으로 풀이된다.
우리금융은 29일 기업설명회(IR)를 통해 2025년 올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한 2조796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그룹 ROE는 10.87%(경상기준 10.09%)로 전분기 대비 1.74%p 상승하며 수익성이 한층 개선됐다.
3분기 순이익은 1조2444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33% 증가했다. 자산 리밸런싱과 조달비용 효율화로 은행 NIM이 전분기 대비 3bp 상승했으며, 은행 WM·카드·캐피탈 부문 영업력 강화와 보험 손익 반영으로 비이자이익도 전분기 대비 5.3% 늘어나는 등 수익 구조가 다변화됐다.
이번 '보험 자회사 편입'은 자본비율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종합금융그룹 체계를 완성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비은행 부문 경쟁력 강화와 그룹사 간 시너지 확대의 계기가 됐기 때문이다.
실제로 방카슈랑스 판매에서 동양·ABL 비중이 3개월간 약 13%p 상승해 22.5%를 기록하는 등 향후 은행과 비은행의 균형 성장과 자회사 간 시너지 극대화를 통해 성장 기반이 더욱 견고해질 전망이다.
또한 우리금융은 경기 둔화 우려에 선제적으로 충당금을 적립해 자산건전성을 강화했다. 그 결과 NPL비율은 0.70%, 은행은 0.31%를 기록했으며, 은행 연체율은 0.36%로 하락했다. NPL커버리지 비율도 그룹 130.0%, 은행 180.9%로 반등하며 주요 건전성 지표가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그룹 보통주자본비율은 12.92%(E)를 기록했다. 환율 상승과 M&A 자본 부담 등에도 오히려 전분기 대비 약 10bp 증가, 업종 내 뚜렷한 개선세를 보이며 탄탄한 자본관리 역량을 입증했다.
이에 연말 목표치인 12.5%은 물론 중장기 목표 13% 조기 달성도 가시권에 있어 속도감 있는 밸류업 계획 이행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우리금융 이사회는 지난 24일 3분기 분기 배당으로 주당 배당금 200원을 결정하며 안정적인 주주환원 기조를 밝혔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자산리밸런싱 등 자산구조의 질적 개선 노력으로 보통주비율이 13% 수준에 근접하며 그룹 재무구조가 빠르게 개선됐다"며 "4분기부터는 지난달 발표한'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를 통해 생산적 금융 전환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