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돌봄수요 효과"…비거주복지시설운영업 취업자 '역대 최대'

취업자 산업 및 직업별 특성 발표
15~29세 음식점및주점업 주로 종사
노령층은 사회복지서비스업 15.8%

고령화로 돌봄 수요가 늘면서 노인 주간 돌봄 시설이나 방문 복지 등을 포함하는 '비거주복지시설운영업' 취업자가 상반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 규모인 168만8000명을 기록했다.


국가데이터처는 28일 이런 내용의 '2025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을 발표했다.

지난 9월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 인근에서 시민들이 이동하는 모습. 연합뉴스

지난 9월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 인근에서 시민들이 이동하는 모습.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상반기에 산업 소분류 기준으로 취업자 규모를 보면 비거주복지시설운영업이 168만8000명(5.8%), 음식점업이 166만2000명(5.8%), 작물재배업이 126만명(4.4%) 순으로 나타났다. 비거주복지시설운영업(13만5000명)과 거주복지시설운영업(3만2000명) 등이 늘어난 반면 작물재배업(-11만5000명), 건물건설업(-6만9000명) 등은 감소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비거주복지시설운영업 취업자는 2017년 통계 작성 이후 상반기 기준 가장 큰 규모"라고 설명했다. 또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비거주복지시설운영업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증가세를 보이는 상황"이라며 "노인 주간 돌봄 시설이나 방문 복지 등 고령화로 돌봄 수요가 증가하는 것과 관련한 시설들이 주로 들어가 있다"고 덧붙였다.


산업 중분류별 취업자를 보면 음식점및주점업이 214만4000명(7.4%), 소매업(자동차 제외)이 194만5000명(6.7%), 사회복지서비스업이 193만명(6.7%) 순으로 많았다. 사회복지서비스업(16만7000명)과 교육서비스업(6만8000명) 늘어난 것과 달리 농업(-12만6000명)과 전문직별공사업(-7만6000명)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 중분류별 취업자 규모를 연령 계층으로 나눠 보면 15~29세의 경우 음식점및주점업 취업자가 58만7000명(16.2%)으로 가장 많았다. 다만 전년 동기와 비교해서는 규모가 4만4000명 감소했다. 음식점및주점업 뒤로는 소매업(자동차 제외)이 32만명(8.8%), 교육서비스업이 29만7000명(8.2%) 순으로 취업자가 많았다.


60세 이상의 경우 사회복지서비스업이 108만9000명(15.8%), 농업이 103만7000명(15.0%), 음식점및주점업이 43만명(6.2%) 순으로 많았다.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만 취업자가 12만9000명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농업에서는 취업자가 7만2000명 줄며 낙폭을 그렸다.


산업 대분류 기준으로 종사상 지위를 나눠보면 임금 근로자(2241만5000명) 중 제조업 비중은 17.8%로, 비임금 근로자(647만2000명)는 농림어업이 20.7% 비중으로 각각 컸다. 상용 근로자(1667만7000명)의 경우 제조업이 22.1%, 임시·일용 근로자(573만8000명)는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이 18.9%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상반기 임금 근로자의 30.6%는 200만~300만원 미만 임금을 받았다. 이는 전년 동기보다 1.6%포인트 하락한 비중이다. 뒤로는 300만~400만원 미만(22.4%), 500만원 이상(16.3%), 400만~500만원 미만(11.2%), 100만~200만원 미만(9.9%), 100만원 미만(9.6%) 순으로 나타났다. 100만원 미만(0.8%포인트 하락)을 제외한 전 비중이 소폭 상승했다.


200만~300만원 미만 임금을 받는 근로자는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및임대서비스업(46.3%)과 부동산업(40.3%) 종사 비중이 높았다. 500만원 이상을 받는 근로자는 금융및보험업(37.2%)과 전문, 과학및기술서비스업(35.9%)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100만원 미만을 받는 이들은 주로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28.9%)과 숙박및음식점업(23.8%)에 종사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100만원 미만 취업자의 경우 시간제가 상당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 직접 일자리 사업인 노인 일자리 사업 중 사회복지센터 등을 통해 일할 경우 주로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으로 분류가 된다"며 "이들이 보통 짧은 시간에 일하다 보니 100만원 미만에 상당수 들어가 있는 것"이라고 짚었다.





세종=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