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제재도 언급한 트럼프…김정은은 묵묵부답 지속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연일 러브콜을 이어가고 있다. 북한을 '뉴클리어 파워(Nuclear Power)'이라고 지칭한 데 이어 북미 정상 회동 시 대북 제재 문제도 논의할 수 있다는 의사를 내비치면서다. 북미 정상 회동까지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결단'만이 남겨진 가운데, 북한은 트럼프의 방한을 하루 앞두고도 묵묵부답한 채 상황을 주시하는 모습이다.


28일 AFP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각) 일본 도쿄로 이동하는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 원' 내에서 취재진과 만나 김 위원장과의 만남에서 미국이 무엇을 제시할 수 있는지와 관련해 "우리에게는 (대북) 제재가 있다. 이보다 더 큰 것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김 위원장과 대북 제재를 논의하겠다고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정상 회동을 위해서라면 오는 29~30일, 1박 2일로 예정된 방한 기간을 연장할 수도 있다는 뜻도 전했다. 그는 아시아 순방 일정 연장 가능성에 대해 "나는 한국에 있을 것이기에 바로 그쪽으로 갈 수 있다"면서 "그것은 아주 쉬운 일"이라고 했다. 북한의 비핵화 포기 요구를 뉴클리어 파워라는 표현으로 일정 부분 수용했음에도 별다른 반응이 없자 더 큰 카드(대북 제재 완화)를 제시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처럼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 방한을 앞두고 연일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해 러브콜을 보내고 있지만, 공을 넘겨받은 김 위원장은 아직 별도의 입장을 내지 않은 채 묵묵부답을 이어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잇단 러브콜이 김 위원장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낼 '당근'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린다. 당장 대북 제제 완화 가능성과 관련해서도 북한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을 통해 북한이 상당한 경제적 반대급부를 받는 만큼 실익이 크지 않단 지적도 제기된다. 홍민 북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잇달아 유인책을 제시하는 것은 그만큼 북미 간 교감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뜻"이라면서 "핵보유국 인정과 평화적 공존 관계 등과 관련한 요구가 충족돼야 회동의 여지도 생길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이런 가운데 김 위원장의 핵심 외교·안보 분야 참모인 최선희 외무상은 러시아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을 예방하고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회담을 가졌다. 러시아 측은 회담에서 "국가의 현 지위와 안전이익, 주권적 권리를 수호하려는 북한 측의 노력과 조치에 전적인 지지를 표명했다"고 했다. 북한이 '주권적 권리'로 부르는 핵보유와 관련해 지지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풀이된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는 "최 외무상의 최근 방중·방러는 북미대화 재개 시 중·러 패싱 가능성을 차단한 것"이라면서 "북미정상회담의 외교적 부담은 사라진 만큼, (회동 성사까지는) 김 위원장의 결단만 남아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