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레이건 연설 광고'를 제작한 캐나다에 관세를 추가로 10%포인트 인상한다고 밝혔다.
25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그들(캐나다)의 사실에 대한 중대한 왜곡과 적대 행위 때문에 나는 그들이 현재 내는 것에 더해 관세를 10% 인상한다"라고 밝혔다. 그는 관세 인상의 이유로 캐나다 온타리오주가 주관해 만든 방송광고를 들었다.
최근 온타리오주는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이 1987년 4월 일본에 대한 관세 부과 배경을 설명하는 연설을 활용해 광고를 만들었다. 광고에서는 레이건 전 대통령이 관세를 부정적으로 언급하고 자유무역을 옹호하는 한편 관세가 장기적으로는 미국 경제와 미국인의 삶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하는 내용이 담겼다.
지난 23일 이 광고를 이유로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의 무역 협상을 중단한다고 선언했다. 더그 포드 온타리오 주지사가 27일부터 해당 광고를 중단하겠다고 밝히며 진화를 시도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의 광고는 곧바로 중단돼야 했는데 그들은 사기임을 알면서도 어젯밤 (미국 프로야구) 월드시리즈 도중에 (광고가) 방영되도록 방치했다"라고 주장했다.
또 "이 사기의 유일한 목적은 캐나다가 수년간 미국을 해치기 위해 활용해온 관제 문제에서 미국 대법원이 자신들을 구원해줄 것이라는 희망이었다"며 "이제 미국은 캐나다의 과도하고 억압적인 관세에 맞서 스스로 방어할 수 있다. 레이건은 국가 안보와 경제를 위해 관세를 사랑했지만, 캐나다는 그가 그렇지 않다고 했다"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는 레이건의 관세 관련 연설 사기 광고를 게재하다 현행범으로 적발됐다"며 "레이건 재단은 그들(캐나다)이 '레이건 대통령의 음성과 영상을 선별적으로 사용해 광고를 제작했다. 해당 발언의 사용 및 편집에 대한 허가를 요청하거나 받은 적도 없다'라고 밝혔다"는 주장도 재차 강조했다.
미 CNN은 해당 연설이 실제 존재하며 편집된 것은 맞지만 '가짜'는 아니라는 점을 짚었다. CNN은 "레이건은 실제로 5분간의 연설에서 관세를 강력히 비판했다"며 "자유롭게 공정한 무역에 대한 전폭적인 지지를 표명한 연설이었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미국의 대 캐나다 관세율은 35%이나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적용 품목은 제외돼 캐나다의 대미 수출 중 대부분인 85%는 관세를 적용받지 않고 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