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3명 중 2명 이상은 통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과반에 가까운 국민이 북한을 협력·지원의 대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가 26일 공개한 3분기 국민 통일여론조사에 따르면 남북통일이 필요하다는 국민은 68.6%(매우 필요 35.5%, 어느 정도 필요 33.1%)로 조사됐다. 불필요하다는 응답은 30.4%(별로 필요하지 않다 19.0%, 전혀 필요하지 않다 11.4%)였고 모름/무응답은 1.0%였다.
통일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1년 전인 지난해 3분기 74.6%였다. 이후 지난해 4분기 65.6%, 올해 1분기 67.9%, 올해 2분기 68.9% 등으로 차츰 낮아지는 추세다.
통일이 필요한 이유로 전쟁 위협의 해소(31.1%), 경제 발전(29.4%), 민족의 동질성 회복(14.4%), 자유와 인권 실현(12.3%) 등이 꼽혔다. 아울러 통일에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나라로는 미국(60.2%)이 가장 많이 꼽혔고, 중국(28.3%), 러시아(3.7%), 일본(2.4%)이 뒤를 이었다.
북한이 우리에게 어떤 대상이라고 생각하느냐는 물음에는 협력·지원 대상이라는 응답이 47.3%로 경계·적대 대상(40.8%)이라는 답변보다 많았다. 한국의 안보 상황은 안정적(49.7%)이라는 응답과 불안정(49.3%)하다는 응답이 비슷한 수준이었다.
남북관계를 적대·대결에서 화해·협력으로 전환하기 위해 우선해야 할 사항이 무엇이냐는 물음에는 '남북 간 적대행위 중단 등 군사적 긴장 완화 조치'라는 응답이 35.7%로 가장 많았다. 북미정상회담이 재개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낮다(49.1%)는 관측이 높다(46.8%)를 다소 웃돌았다.
한편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업체 글로벌알앤씨㈜가 지난달 12∼14일 전국 19세 이상 1000명에게 전화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9.7%였으며, 95%의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표본오차는 ±3.1%포인트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