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디스, 프랑스 신용전망 '안정적→부정적' 하향

"정치적 불안정, 정책 과제 해결하는 정부 능력 저해"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재정·정치적 위기를 겪는 프랑스의 향후 신용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무디스, 프랑스 신용전망 '안정적→부정적' 하향 원본보기 아이콘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무디스는 24일(현지시간) 프랑스의 신용등급을 기존 Aa3로 유지하면서도 전망은 어둡게 내다봤다.

무디스는 "전망 등급을 부정적으로 바꾼 건 프랑스 정치 지형의 분열이 계속해서 입법 기관의 기능을 저해할 위험이 커졌음을 반영한다"고 밝혔다. 또 "이런 정치적 불안정은 높은 재정 적자, 증가하는 부채 부담, 지속적 차입 비용 상승 등 주요 정책 과제를 해결하는 정부의 능력을 저해할 위험이 크다"고 분석했다.


무디스에 앞서 지난 9월과 10월 국제신용평가사 피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프랑스의 신용 등급을 'AA-'에서 'A+'로 한 단계 하향 조정했다. 두 평가사 역시 프랑스의 정치적 불안정이 재정 위기 해소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세바스티앵 르코르뉘 총리는 공공 재정을 강화하기 위한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연금 개혁을 차기 대선까지 중단하겠다고 발표해 가까스로 의회 불신임을 피했다.

무디스는 그러나 이 같은 연금 개혁 중단이 몇 년 이상 지속되면 프랑스의 재정적 도전이 더 가중되고 경제의 잠재적 성장에 해를 끼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프랑스 하원은 24일부터 예산 논의에 들어갔다.


무디스는 "지출을 선제적으로 억제하거나 세수를 늘리는 예산안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프랑스의 재정 적자는 우리가 현재 예상하는 것보다 더 장기간, 더 큰 폭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구은모 기자 gooeunm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