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비즈기업 10곳 중 6곳 "AI 활용"…전문인력·비용은 걸림돌

'AI 활용 실태조사' 결과 발표

이노비즈기업 10곳 중 6곳이 인공지능(AI)을 활용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AI 도입 과정에서 전문 인력 부족과 비용 부담은 주요 걸림돌로 지적됐다.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이노비즈협회)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AI 활용 실태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조사는 전국 이노비즈기업 2만3206곳을 대상으로 지난 8월 18일부터 9월 12일까지 약 한 달간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 기업(540곳)의 67.2%는 AI를 활용 중이며, 32.8%는 도입을 검토 중이거나 아직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I를 활용하는 기업들은 ▲데이터 분석·시각화(64.8%) ▲문서 요약·교정(63.3%) ▲대화형 챗봇(46.1%) ▲제조공정 자동화(31.1%) 등을 주요 활용 분야로 꼽았다. 단순 사무 지원은 물론 현장 혁신까지 AI 활용이 확산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노비즈협회 AI위원회 관계자들이 회원사의 AI 아젠다 발굴과 활용 확산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노비즈협회

이노비즈협회 AI위원회 관계자들이 회원사의 AI 아젠다 발굴과 활용 확산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노비즈협회

원본보기 아이콘

다만,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은 AI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전문인력 부족(62.8%) ▲도입 비용 부담(62.6%) 등이 주요 장애요인으로 꼽혔다.


그런데도 응답 기업의 60.7%는 향후 AI 활용을 더욱 늘릴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이들이 희망하는 정부 정책으로는 ▲연구·개발(R&D) 및 인프라 구축지원(59.6%) ▲AI 활용 컨설팅·교육(57.4%) ▲AI 전문인력 양성(50.6%) 등이 제시됐다.

이노비즈협회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AI 얼라이언스 신설 ▲AI 실무 리더 양성 교육 ▲특정 분야(버티컬) AI 수출 지원 ▲국제표준 인증 확대 등 단계별 'AI 전환 선도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정부의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 정책과의 연계도 강화해 실질적인 현장 지원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정광천 이노비즈협회 회장은 "협회는 인재 양성, 수출 지원 등 다양한 전략으로 기업들의 AI 전환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고, 정부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도 한층 더 강화하겠다"고 했다.





최호경 기자 hocanc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