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은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홈플러스 투자 손실 책임을 인정하면서 사모펀드 운용사(PEF) 선정 시 운용 방식 검토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전북 전주 국민연금공단에서 열린 복지위 국정감사에서는 국민연금의 홈플러스 투자 손실에 대한 여당 의원들의 지적이 쏟아졌다. 백혜련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MBK파트너스의 홈플러스 자산을 담보로 한 차입매수(LBO·대출로 기업을 인수한 뒤 해당 기업 자산·수익으로 상환하는 것) 방식의 약탈적 인수방식이 홈플러스 기업회생으로 나타났고, 입점한 국민이 피눈물을 흘리고 지역상권 붕괴로 이어지고 있다"며 "국민연금이 MBK와 같은 LBO 방식의 사모펀드에 자금을 제공해주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기준에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LBO 방식을 활용하는 사모펀드에 대한 국민연금공단의 자금 출자를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백 의원은 "국민연금이 선도 기관투자자로서 약탈적 사모펀드에는 투자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만들라"며 "그래야 다른 기관투자자들도 따르게 돼 있다"고 말했다.
이에 김 이사장은 "저희(국민연금) 돈을 받은 운용사가 (인수한) 회사를 키우고 기업가치를 높여 투자금을 회수해줘야지 그냥 (피인수 회사) 자산을 매각해 투자금을 회수해주겠다는 데 의문을 갖고 있다"며 "국민연금이 이런 운용사에게 돈을 주는 것은 자제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운용사 선정 시 자산을 팔아 수익률을 내는 것을 높게 평가하지 않는다는 지침이 있다"며 "앞으로 자산을 팔아 수익률 내겠다고 하는 운용사에게 자금을 주는 것을 지양하도록 운용 방식을 충분히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홈플러스 투자 회수와 관련해서는 "(투자)원금과 이익을 합해서 3131억원을 회수했고 받아야 할 돈은 공정가치로 판단하면 9000억원 정도 남았다"며 "회수 방안은 불확실하며 현재 상태로는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국민연금은 2015년 MBK의 홈플러스 인수 당시 총 6121억원을 투자했다.
김 이사장은 홈플러스 사태에 대한 책임도 인정했다. 그는 'MBK의 투자전략을 알고 있음에도 투자한 국민연금의 책임을 인정하느냐'는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결과적으로 투자 손실이 확대되고 여러 종업원, 협력업체에 부담이 된 것에 대해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답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