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수소 기술 국산화 속도"…'청정수소 R&D 혁신연합' 본격 시동

산·학·연·관 93개 기관 참여 첫 총괄위원회 개최…5대 핵심 기술 고도화·사업화 협력 강화

정부가 청정수소 기술 자립과 산업화를 앞당기기 위한 범국가 협력 플랫폼을 본격 가동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한국연구재단에서 '청정수소 연구개발(R&D) 혁신연합' 제1차 총괄위원회를 개최하고, 산·학·연·관 협업을 통한 청정수소 기술개발 및 사업화 추진 방향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지난 9월 9일 혁신연합 출범 이후 처음 열린 공식 회의다.

남부발전 청정수소화합물 인프라 설비 조감도. 아시아경제DB

남부발전 청정수소화합물 인프라 설비 조감도. 아시아경제DB

원본보기 아이콘

혁신연합은 과기정통부를 중심으로 67개 기업, 10개 연구기관, 16개 대학 등 총 93개 기관이 참여하는 민관 협의체로, 2030년까지 청정수소 생산기술의 국산화율 100% 달성을 목표로 한다.

주요 협력 분야는 △알칼라인(ALK) 수전해 △고분자전해질(PEM) 수전해 △고체산화물(SOEC) 수전해 △음이온교환막(AEM) 수전해 △액상유기수소운반체(LOHC) 등 5대 핵심 기술이다.


총괄위원회에는 김준범 울산대 교수를 위원장으로, 과기정통부 관계자와 수요기업(비에이치아이·삼성물산·HD현대중공업·포스코홀딩스 등),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 단장, 학계 전문가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실험실 연구성과가 산업현장으로 이어지도록 수요 맞춤형 R&D 체계 강화와 기술 실증 확대가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산업계는 "국내 기술 수준이 미국·유럽 등 선도국에 비해 낮은 만큼 정부가 기업이 활용 가능한 실증 기반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고, 연구계는 "기업-연구기관-대학 간 기술 검증과 교류를 강화해 신뢰할 수 있는 협력 생태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5대 핵심 분야 중점연구실(30개 기관 참여)에 2029년까지 1190억원을 투입해 ALK와 PEM 수전해 시스템을 각각 10㎿, 수㎿급으로 대형화하고, 소재·부품 기술의 성능 검증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내년부터 기업이 R&D 초기 단계부터 참여할 수 있는 청정수소 기술개발 과제를 추진하고, 분야별 '기술분과 협의체'를 운영해 상시 협력을 강화한다.


김성수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혁신연합은 명실상부한 청정수소 R&D 협업 플랫폼"이라며 "기술 자립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전주기 협력체계를 정착시키고, 청정수소 산업 생태계의 혁신을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김종화 기자 just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