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중국인들이 일본 도쿄의 공원 곳곳에서 식용 목적으로 매미 유충을 무분별하게 포획해 논란이 일고 있다.
최근 일본 매체 '프레지던트온라인'은 "도쿄 시내 여러 공원에서 중국인들이 저녁 시간대 매미 유충을 대량 포획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도쿄의 여러 공원에서는 해질 무렵부터 늦은 밤까지 중국어를 사용하는 무리가 공원 곳곳을 돌아다니며 무언가를 찾는 모습이 자주 목격되고 있다. 이같은 모습에 가족 단위 방문객들은 불안감을 호소하며 경찰과 시 공원관리부서에 신고가 잇따랐다.
이들 중국인은 식재료로 사용할 목적으로 매미 유충을 채집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중국 일부 지역에서는 매미를 식용으로 즐기는 문화가 있는데, 산둥성과 허난성 등지에서는 매미 유충인 '지랴오호우'가 여름철 별미로 인기가 많다. 최근에는 수요 증가로 인해 고급 식재료로 취급되는 경우도 있다.
도쿄도 조례와 각 지자체의 공원 조례는 공원 내에서 동·식물을 채집하거나 반출하는 행위는 금지·제한한다.
하지만 일부 중국인들의 무분별한 채집 행태가 이어지면서 골칫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중국인들의 생활상과 행동 패턴을 취재해온 탐사·현장 취재 작가인 아키시마 사토루는 "일본에서는 금지된 행위임에도 이를 가능케 하는 매뉴얼이나 우회 방법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확산하고 있다"며 "주의를 주면 오히려 화를 내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불법임을 인식하고도 "그래서 뭐가 문제냐"는 식으로 반응하며 적반하장식 태도를 보이는 중국인의 사례가 적지 않다. 관계자들은 논리적 설득이 통하지 않는다며 제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매체는 "수십, 수백 마리 단위로 조직적인 포획이 이뤄지고 있다"며 "일본 사회에서 자연스럽게 공유되는 '선의의 기준선'을 외국인들이 이해하지 못하거나 무시하면서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한국에서도 일부 중국인들이 매미 유충을 대량으로 잡아 논란이 된 바 있다. 지난 7월 서울시 민원 사이트 '응답소'에는 "중국인들이 채집 큰 통을 들고 매미 유충을 반복적으로 대량 채집하고 있어 경찰에 신고했지만 처벌 근거가 없어 풀어줬다"는 내용의 민원이 여러 건 게시됐다.
또 같은 달 부산의 삼락생태공원에서도 매미 유충을 채집하는 중국인들이 잇따라 포착됐다. 하지만 매미는 천연기념물이나 법적 보호종이 아닌 만큼 현행법상 이들을 제재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