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노정 SK하이닉스 최고경영자(CEO) 사장은 시장 경쟁에 불이 붙은 6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 HBM4와 관련해 "고객들이 원하는 성능과 속도 기준을 모두 충족했고 양산성까지 확보했다"며 우위를 자신했다.
곽 사장은 22일 오후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제18회 반도체의 날 행사에 참석하면서 취재진과 만나 HBM4 양산 준비 계획에 대한 질문을 받고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며 이와 같이 답했다.
SK하이닉스는 HBM4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샘플을 엔비디아 등 고객사에 제공한 후 응답을 기다리고 있다. HBM 시장에서 그간 두드러진 행보를 보여왔던 만큼, 회사는 HBM4도 대량 공급을 자신하고 있다. 시장 상황도 SK하이닉스에는 긍정적이다. HBM을 비롯해, D램,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시장 전반이 '슈퍼 사이클'이 전망될 만큼 호황기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시장에서 많다. 이에 따라 SK하이닉스 역시 상당한 호실적을 낼 것이란 전망이 적지 않다.
곽 사장은 이에 대해 "내년도 나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얼마나 고객들이 원하는 어떤 성능, 특성, 양산성 등을 잘 따를 수 있느냐가 앞으로 중요할 것 같고 특히나 인공지능(AI) 산업이 점점 강조, 강화되면서 메모리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기 때문에 고객들과 더욱 밀접하게 협력하고 진정한 파트너로 거듭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최근 고공행진 중인 회사의 시가총액에 대해선 "물론 시가총액도 중요하겠지만, 일단 저희는 고객과 더욱 밀착되고 좀 더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사업 목표를 잡으려 한다"며 "그러다보면 기업 가치도 그와 맞물려 상승할 것으로 본다"고 했다. SK하이닉스의 시가총액은 이날 장 마감 기준 350조원을 넘었다. 지난해 초 곽 사장이 제시한 "3년 내 시가총액 200조원" 목표도 훌쩍 넘어선 수치다.
곽 사장은 이런 회사 사장과 HBM을 통해 올해 우리 반도체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제18회 반도체의 날 시상식에서 금탑산업훈장을 받았다. 곽 사장은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 그룹의 많은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소감을 밝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