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이 중국에 희토류 협의를 제안하자 중국 측은 반도체 기업 넥스페리아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마로시 셰프초비치 EU 무역·경제안보 담당 집행위원은 21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과의 화상통화에서 (중국 측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 조치에 대한) 긴급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중국 당국자들을 벨기에 브뤼셀에 초청했고 왕 부장이 이를 수락했다"고 밝혔다.
이어 "양자 관계에 악영향을 주는 상황에서 신속한 해결책은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은 지난 9일 희토류에 대한 추가 수출 통제 조치에 나섰다. 지난 7월 EU와의 정상회담에서 중국산 희토류 수출 허가 시 EU로 향하는 물량에 대해 일종의 '패스트트랙' 조치를 적용해주기로 했으나 이를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는 게 EU 측 주장이다.
한편 중국 상무부는 이번 통화에서 희토류 수출 통제뿐 아니라 넥스페리아 문제도 논의했다고 밝혔다. 왕 부장은 이에 대해 "중국은 '국가 안보' 개념 확대에 반대한다"며 "EU 측이 건설적 역할을 하기 바라며 네덜란드가 계약 정신과 시장 원칙을 지킬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넥스페리아는 중국 기업 윙테크의 네덜란드 자회사로 네덜란드 정부가 최근 기술 유출 우려를 이유로 자산·지식재산권을 동결하고 경영권을 박탈했다.
왕 부장은 희토류 수출 통제에 관해서는 "법에 따라 중국 수출 통제 시스템을 보완한 정상적 방법으로 세계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대국의 역할을 구현한 것"이라며 "중국은 전 세계 공급망 안전을 지키기 위해 힘쓰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셰프초비치 집행위원은 '중국 측의 희토류 수출 통제를 이해하지만 시행 과정에서 EU 기업의 신청을 신속히 승인해주길 바란다'는 취지로 말했다. 넥스페리아 문제의 경우 네덜란드와 중국 측 소통 강화에 협조하겠다고 한 것으로 알려졌다.
왕 부장은 이날 네덜란드 측 요청으로 빈센트 카레만스 네덜란드 경제장관과도 통화해 넥스페리아 문제를 논의했다. 왕 부장은 "조속한 문제 해결"을 촉구했으며, 네덜란드 측은 "중국 측과 소통해 건설적인 해결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