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극장을 찾은 관객 수가 코로나19 이전의 약 절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의원이 21일 영화진흥위원회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극장 영화 관객 수는 1억2313만명으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1.6% 줄었고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7~2019년과 비교하면 3년 평균 대비 55.7%에 그쳤다.
극장 매출 역시 전년 대비 5.3% 쪼그라든 1조1945억원에 불과했다. 코로나19 이전 시기의 매출 대비 65% 정도다.
관객 1인당 극장 영화 관람 횟수는 2.4회로 전년 2.44회에서 소폭 감소했다. 평균 관람 요금의 경우 9702원으로 전년 1만80원 대비 3.8% 줄었다.
올해도 극장 관객 수와 매출액이 저조하다. 지난 8월 누계 기준 극장 누적 관객 수는 6769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쪼그라들었다. 누적 매출액 역시 6584억원으로 21.8% 감소했다.
영진위는 예년과 달리 여름 성수기 텐트폴(흥행 가능성이 높은 상업영화) 영화 흥행이 저조했다고 평가했다.
한편 국산 상업영화 개봉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순제작비 30억원 이상 한국 영화는 2019년 45편에서 2020년 29편으로 줄었고, 2021년에는 17편으로 축소됐다. 2022~2024년에는 국내 상업영화가 35편 개봉했지만, 올해 다시 20편에 그친 실정이다.
임 의원은 "OTT 자본 지배력 강화에 대응해 'K-무비'의 지적재산(IP) 협상력을 강화하고, 자본 구조 다변화를 위한 투자펀드 조성·국제 공동제작 지원 등 글로벌 확장 전략으로 영화 산업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