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한 건 했다" 1초에 2000대 CCTV 분석해 치매 노인 추적

안양시, AI 추적 시스템으로 치매 노인 구조
AI, 뒷모습 사진만으로 실종자 추적

경기 안양시에서 실종된 치매 노인이 인공지능(AI) 기반 동선 추적 시스템 덕분에 3시간 만에 무사히 구조됐다.


안양시 인공지능 동선 추적 시스템 '에이드'가 실종된 치매 노인을 추적하는 모습. 안양시

안양시 인공지능 동선 추적 시스템 '에이드'가 실종된 치매 노인을 추적하는 모습. 안양시

원본보기 아이콘

20일 안양시에 따르면, 추석 연휴가 시작된 지난 3일 오전 7시께 안양동안경찰서는 치매 노인 A씨(88세)가 집을 나갔다는 가족의 신고를 받고 수색에 나섰다.

추적은 A씨의 주거지 엘리베이터 CCTV에 찍힌 사진 한 장에서 시작됐다. 사진에는 흰색 모자에 지팡이를 짚고 있는 A씨의 뒷모습만 찍혀있었다.


이에 안양시·경찰청·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협력해 운영 중인 스마트도시통합센터의 AI 동선 추적 시스템(에이드·AIID)이 가동됐다. 에이드는 AI를 기반으로 CCTV 영상 분석부터 유사 인물 검색 및 분석, 동선 추적과 예측까지 가능한 복합 인지 기술 기반의 지능형 관제 프로그램이다.


정면 얼굴도 보이지 않는 흐릿한 사진이었지만, 에이드는 단 1초 만에 동안구 일대 2000여 대의 CCTV를 분석해 A씨를 특정했다. 이어 초고속 검색으로 오전 7시5분 A씨의 배회 경로와 마지막 이동 경로까지 포착했다.

경찰은 이 정보를 바탕으로 인근 CCTV를 통해 A씨가 호계동의 한 아파트 단지에 들어간 것을 확인하고 현장에 출동했다. 아파트의 주차장과 지하 공간을 집중 수색한 끝에 경찰은 추적 3시간 만인 오전 10시4분께 지하 1층 기계실 구석에서 웅크리고 있는 A씨를 발견해 구조했다.


발견 당시 추위에 떨고 있던 A씨는 현장에서 소방관의 신속한 조치를 받고 건강에 큰 이상 없이 가족과 재회했다.


안양동안경찰서 실종수사팀 관계자는 "에이드 시스템 덕분에 수색 초기 단계에서 실종자 동선을 초 단위로 정확하게 파악해 수색 범위를 좁힐 수 있었고, 조기 발견해 구조했다"고 말했다.


앞서 안양시는 2023년 '실종아동 신원확인' 연구개발 과제의 도시 실증사업을 완료하고, 경찰청·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과 함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디지털 안전 선도모델 개발사업에 참여해 2024년 12월 에이드를 개발했다. 에이드는 지난 6월에도 극단적 선택을 예고하고 잠적했던 청년을 구조하는 데 도움을 준 바 있다.


최대호 안양시장은 "우리 시의 AI 인프라 등 첨단 기술과 경찰의 협력으로 소중한 시민의 생명을 지켜냈다"면서 "실종자 수색 및 재난 안전 시스템을 더욱 강화해 국정과제인 'K-AI 시티 실현'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