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국정감사장에 돈다발이 등장했다. 관봉권 관련 의혹을 풀기 위해 천하람 개혁신당 의원이 1000원짜리 1000장을 은행에서 찾아오면서다.
천하람 개혁신당 의원은 2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한은 국정감사에서 "국회가 가짜 뉴스 생산지 역할을 하는 것 같아 답답해서 참다못해 시중은행 관봉권을 직접 인출해왔다"며 "시중 은행에서 물어보니 1000장을 인출하는 일이 요즘 흔치 않고 관봉권이 마침 안 뜯고 있어야 나갈 수 있어서 드물기는 하지만, 관봉권을 개인이나 기업에 주는 게 규정상 문제도 없고 실제 있는 일이라고 한다"고 설명했다.
이는 백해룡 경정이 지난 9월22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띠지가 있으면 반드시 서명되기 때문에 그 돈이 어디로 갔는지 반드시 찾을 수 있다'고 한 발언을 반박하는 취지다. 천 의원은 관봉권을 직접 뜯어 1000원권이 100장씩 묶인 낱개 다발을 이 총재와 동료 의원들에게 보여주며 "어느 은행 어떤 창구에서 인출해왔는지 혹시 아실 수 있겠나"며 "한은 관봉권 띠지는 이게 1000장이 맞는지, 제조책임이 잘 됐는지 보기 위한 것이다. 띠지로 어느 은행을 통해 어떻게 유통됐는지 알 방법은 없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어떤 형태로든 추적이 안 되냐는 천 의원의 질문에 "생산자 입장에서 질을 관리하는 것이고, (라면 회사에서) 어느 라면이 어디로 갔는지까지 모르는 것처럼 어느 묶음이 어디까지 갔는지를 모르는 것"이라며 "알게 하려면 바코드를 넣어서 어디로 가는지를 체크해야 하는 데 그럴 필요가 아직 없었고, 그렇게 할 경우 화폐의 익명성 보장이 이뤄지지 않아 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천 의원은 "정부 국고금 관리법 관련 규정을 보면, 특활비를 포함해 전부 다 일단은 예금으로 받아야 한다고 돼 있다. 일종의 계좌이체로 가는 것이지 현금이 나갈 수 없다. 정부의 예금은 또 지출도 전부 시중은행을 통해서 한다"며 "가짜뉴스엔 적극적으로 대응해달라"고 덧붙였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