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네이버( NAVER )와 가상자산사업자 두나무 합병 과정에서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시세조종 의혹이 제기됐다. 금융당국의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일 오후 국회 정무위 국정감사에서 "(합병설) 보도 시점에 앞서 주가가 급등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먼저 민 의원은 "(양사) 합병에 대한 긍정적인 면을 본다"면서도 "개운치 않은 측면이 있다"고 운을 뗐다. 그는 "네이버와 두나무가 합병하면 자산총액 14위의 엄청 큰 기업이 탄생하지만, 이 합병에 대한 문서는 딱 하나다. 딱 한 줄"이라며 '추가적인 협력 사항이나 방식에 대해서는 확정된 바 없다'는 네이버 측의 조회공시 사항 문구를 언급했다.
특히 민 의원은 "관련 (합병설) 보도는 오후 3시였으나, 네이버의 주가는 오전 10시 40분부터 거래량이 급증하고 뛰었다"며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시세조종이 아니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이런 대형딜이) 이렇게 깜깜이로 진행돼도 되느냐"며 "네이버는 풍문이다. 미확정이라고 하고 있다. 문제가 있는 게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어 "국내 투자자들이 뭘 믿고 이렇게 투자하겠느냐"면서 "언론 보도 경위와 (앞으로) 어떻게 하겠다는 건지를 과정을 금융위가 명확히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말씀하신 대로 큰 사안이 이런 식으로 전개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며 "조사 들어가는 것에 대해 살펴보겠다"고 답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