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정확한 예측 유명한데 코인개미 어쩌나…"35% 이상 떨어진다" 최악 전망

글로버 CIO "비트코인 강세장 끝"
"2026년 말까지 지속되는 약세장 진입"

가상자산 대장주 비트코인이 다시 한번 조정 국면에 진입했다. 최근 미·중 무역분쟁 격화와 미국 지역은행 부실 우려 등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정확한 예측으로 정평이 난 존 글로버 레든 최고투자책임자(CIO)가 "이번 하락은 단기 조정이 아닌 장기 약세장의 시작"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비트코인이 현재 고점 대비 35% 이상 추가 하락할 수 있다"며 "2023년 초부터 이어진 강세장은 이미 막을 내렸다"고 진단했다.


"비트코인, 7만달러까지 하락 가능성"
비트코인 모형이 놓인 바닥에 코인 시세 그래프가 비치는 모습. 연합뉴스

비트코인 모형이 놓인 바닥에 코인 시세 그래프가 비치는 모습.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19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글로버 CIO는 비트코인이 7만달러(약 9900만원) 수준까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현재가(약 10만8000달러·약 1억5400만원) 대비 35% 이상 하락할 여지가 있다는 뜻이다.

글로버 CIO는 "암호화폐가 5파동 상승 움직임을 완료했으며 적어도 2026년 말까지 지속될 수 있는 약세장에 진입했다고 굳게 믿는다"며 "7만~8만달러까지 떨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치인 12만4000달러(약 1억7600만원) 선을 다시 테스트하거나 소폭 상승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지만, 이제 추세는 약세로 반전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비트코인은 미·중 무역분쟁과 미국 내 지역은행 부실 위험 등 여파로 약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17일에는 3% 이상 급락하며 11만2246달러(1억5600만원)대까지 추락하기도 했다.


엘리엇 파동으로 본 비트코인

글로버 CIO는 이번 하락 국면을 '엘리엇 파동 이론'으로 설명했다. 1938년 랠프 넬슨 엘리엇이 제시한 이 이론은 투자자 심리가 반복적 주기를 보인다는 가정하에 가격 움직임을 5개의 상승 파동과 3개의 조정 파동으로 해석한다. 그는 이 이론을 적용할 경우, 지난주 비트코인이 10만5000달러(약 1억5000만원)를 하회하며 강세장에 마침표를 찍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글로버는 비트코인이 반감기 후 약 18개월 시점에 정점을 형성한 뒤 약세장으로 들어가는 과거 패턴과도 이번 전망이 부합한다고 했다. 가장 최근 반감기는 2024년 4월이었다. 글로버 CIO의 전망이 현실화할 경우, 지난 2년간 이어진 비트코인 랠리는 사실상 마침표를 찍게 된다.


美 금융시장 불안 속 비트코인 약세 지속

가상자산 시장은 최근 미·중 무역분쟁 갈등 등에 따른 유동성 저하로 조정 국면을 보이고 있다. 상화폐 정보업체 코인게코 자료에 따르면 가상화폐 전체 시총은 13일 대비 일주일간 2100억달러(약 298조원) 이상 줄어들었다. 시장의 약세는 지난 10일 업계에서 발생한 사상 최대 규모의 청산 사태의 여파가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당시 중국이 희토류 수출 제재 조치를 예고하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을 언급하며 시장에서는 레버리지 포지션을 중심으로 파생상품 투자금이 청산됐다. 이후에도 미·중 무역분쟁에 대한 긴장감이 지속되면서 시장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비트코인의 급락을 예고하는 전문가 발언이 잇따르며 시장은 당분간 약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서지영 기자 zo2zo2zo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