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의 블록체인 기반 배터리 여권 플랫폼이 중동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전문기업 ㈜피엠그로우(대표 박재홍)와 웹3 인에이블러 ㈜파라메타(대표 김종협)가 지난 12일부터 15일까지 두바이 월드트레이드센터에서 열린 지텍스 2025(Expand North Star & GITEX Global)에 함께 참가했다.
지텍스 2025는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월드 트레이드 센터(DWTC)와 두바이 하버 일대에서 개최되는 중동 최대, 세계 3대 ICT 전시회이자 국제적인 기술 비즈니스 행사다. 180여개국 6500개 기업과 20만여명의 관람객이 참여했다.
이번 전시에서 피엠그로우와 파라메타는 EU 디지털제품여권(DPP, Digital ProductPassport)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공동 개발 중인 '블록체인 기반 배터리 여권 플랫폼'을 처음으로 선보였다.
양사는 한국형 배터리 데이터 표준과 함께 블록체인 DID(분산신원), PDS(개인데이터저장소) 기술을 결합해 전기차 배터리의 생산·운행·재사용·재활용 전주기 데이터를 위변조 없이 관리하도록 한다. 제조사, 정비사, 운수사, 리사이클 기업이 하나의 통합 플랫폼에서 신뢰 가능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술을 구현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주관하는 '2025년 블록체인 공공분야 집중사업'으로 개발된 이 플랫폼은 배터리 원산지, 제조정보, 충·방전 이력, 성능(SOH), 온도·전압 데이터 등 실시간 운행정보를 자동으로 수집·등록하며 수집된 데이터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검증돼 2027년 시행 예정인 EUDPP 규제에 선제 대응이 가능하다.
부산시의 전기차 운행 데이터, 중고차·정비·충전·재활용 기업 데이터를 연계해 실증 중이다. 이 실증은 국내 최초로 공공용 블록체인 공동인프라를 기반으로 구축된다는 점에서 기술적·정책적 의의가 크다. 국내 전기차 및 2차전지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피엠그로우는 와트에버(WattEver) 등 자사의 배터리 잔존수명 인증 서비스로 확보한 1억㎞ 이상 운행 데이터를 활용해 배터리 진단 및 이력 검증 기능을 담당한다. 파라메타는 공공·금융기관용 블록체인 플랫폼 마이아이디(MyID) 2.0을 통해 DID·PDS·스마트컨트랙트 기술을 제공한다.
양사는 향후 EU DPP 표준과 산업통상자원부 데이터 스페이스 가이드라인에 맞춰 국제 연동 및 민간 확산 모델을 완성할 계획이다.
두바이에서 양사는 ▲배터리 제조~운행~재활용 전 과정을 블록체인 상에서 추적하는 데이터플로우 ▲실시간 SOH(잔존수명) 기반 배터리 인증서 발급 ▲DID 전자지갑을 통한 배터리 소유·검증 시나리오를 직접 시연해 눈길을 끌었다.
피엠그로우와 파라메타는 이번 지텍스 2025 전시를 통해 EU, 중동, 동남아 권역의 배터리 관련 기관 및 기업과 협력을 모색하고 글로벌 OEM, 배터리 제조사, 에너지기업 등을 대상으로 한국형 DPP 대응 파트너십을 포함한 투자 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다.
피엠그로우 박재홍 대표는 "한국이 배터리 여권 분야에서도 기술 주도권을 가질 가능성을 보여줬다"며 "배터리 생애주기 전 과정을 투명하게 기록하고 실질적인 ESG·탄소 감축 효과로 연결하는 글로벌 협력 관계를 구축하겠다"고 힘줬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