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표적인 기술 대기업 알리바바와 징둥닷컴이 홍콩에서 추진 중이던 스테이블코인 발행 프로젝트를 전면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금융 당국이 사실상 민간 주도의 디지털 화폐 발행에 제동을 걸면서, 관련 계획은 무기한 보류 수순을 밟고 있다.
중국의 대표적인 기술 대기업 알리바바와 징둥닷컴이 홍콩에서 추진 중이던 스테이블코인 발행 프로젝트를 전면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으로 기사 내용과 무관). 픽사베이
원본보기 아이콘파이낸셜타임스(FT)는 18일(현지시간), 복수의 익명 소식통을 인용해 이들 기업이 중국 인민은행(PBoC)과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CAC) 등 규제 기관으로부터 "당분간 스테이블코인 관련 사업을 진행하지 말라"는 지침을 받은 이후 발행 준비를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이로 인해 알리바바의 금융 계열사 앤트그룹과 징둥닷컴이 홍콩에서 추진하던 가상자산 기반 금융상품 및 스테이블코인 관련 실험은 사실상 무산됐다. 이들은 당초 홍콩 정부가 추진 중인 스테이블코인 허가제 시범사업에 참여하려 했으나, 중국 본토의 규제 리스크에 막혀 발을 빼게 된 것이다.
인민은행 관계자들은 FT와의 인터뷰에서 "민간 기업이 어떤 방식으로든 화폐 발행에 관여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판단했다"며 중앙은행의 권한을 침해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는 "스테이블코인 발행의 주체가 국가인지 시장인지가 핵심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스테이블코인은 달러 등 실물화폐와 가치가 연동된 디지털 자산으로, 글로벌 암호화폐 생태계에서 거래 및 결제 수단으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현재 발행된 스테이블코인의 99% 이상이 미 달러화를 기반으로 한다.
중국은 지난 2021년부터 가상화폐 채굴과 거래를 전면 금지하며 금융 리스크 차단에 집중해 왔다. 본토에서는 여전히 암호자산 관련 산업에 대해 엄격한 통제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홍콩은 디지털 자산 관련 규제 완화를 통해 아시아의 가상자산 허브로 도약하려는 전략을 펼쳐왔다. 홍콩 금융관리국(HKMA)은 지난 8월, 일정 요건을 충족한 업체가 스테이블코인을 발행·유통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법령을 시행하며 시장을 개방했다.
이에 따라 중국 본토의 거대 기술 기업들도 홍콩을 통해 우회 진출을 노리는 모양새였으나, 중앙 정부의 강경한 입장에 막혀 발행 계획이 좌초된 셈이다.
이런 가운데, 중국 내부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주광야오 전 재정부 부부장은 지난 6월 한 포럼에서 "미국이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달러 패권을 강화하려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며, 중국도 위안화 기반의 스테이블코인을 적극적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홍콩의 제도를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저우샤오촨 전 인민은행 총재는 같은 해 8월 비공개 포럼에서 "스테이블코인은 투기적 요소가 강하고, 금융시장의 불안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며 조심스러운 접근을 주문했다. 그는 "결제 시스템 효율 향상도 제한적이며, 실질 수요에 대한 평가가 선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인민은행과 홍콩금융관리국은 이번 사안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으며, 앤트그룹과 징둥닷컴 역시 관련 문의에 응하지 않았다고 FT는 전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