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고비, 살만 빼주는게 아니었네…'뜻밖의 효과' 연구 결과 나왔다

GLP-1 약물, 체내 알코올 흡수 속도 늦춰
"덜 취한 느낌, 과음 방지 도움 될 수도"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GLP-1 기반 비만 치료제가 음주 행동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해당 약물이 체내에서 알코올이 흡수되는 속도를 지연시켜, 상대적으로 덜 취한 느낌을 유발하고 술을 적게 마시게 만든다는 분석이다.

비만치료제 위고비. 연합뉴스

비만치료제 위고비.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미국 버지니아공대 프랄린 생의학연구소 알렉스 디펠리시안토니오 교수 연구팀은 GLP-1 수용체 작용제가 알코올의 체내 흡수를 늦춰 음주 욕구를 억제할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지난 1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발표했다.


연구는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인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참가자 가운데 절반은 이미 GLP-1 약물을 복용 중이었고, 나머지는 복용 이력이 없는 상태였다. 연구팀은 공복 상태의 실험 참가자들에게 일정량의 칵테일을 10분 이내에 마시게 한 후, 1시간 동안 일정 간격으로 호흡 알코올 농도와 생리적 반응을 측정했다.

그 결과, GLP-1 약물을 투여받은 집단에서는 알코올 농도가 상대적으로 천천히 상승했다. 특히 "얼마나 취한 것 같은가"를 묻는 자가 평가에서 GLP-1 복용 그룹은 취기가 덜하다고 응답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진은 이 같은 현상의 원인으로 약물이 위 배출 속도를 늦추는 작용을 들었다. 위에서 소장으로 넘어가는 알코올의 이동이 느려지면, 혈류로의 흡수 역시 더뎌지고, 결과적으로 뇌에 전달되는 속도도 늦어진다는 설명이다. 이는 알코올이 보상중추를 자극하는 효과를 약화시켜 음주에 대한 갈망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실제로 기존의 알코올 의존 치료제인 날트렉손(naltrexone)이나 아캄프로세이트(acamprosate)는 중추 신경계를 직접 조절해 갈망을 차단하는 반면, GLP-1 계열 약물은 신체의 알코올 흡수 경로 자체에 영향을 줘 간접적으로 음주량을 줄이는 효과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GLP-1 치료제 투여 후 술이 예전처럼 당기지 않는다"는 이용자들의 경험담에서 착안해 시작됐다. 연구진은 "이 약물이 알코올 사용 장애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이번 실험은 비교적 소규모로 진행된 예비 연구인 만큼, 보다 광범위한 대규모 임상시험이 필요하다는 것이 연구진의 입장이다. 향후 반복적인 검증과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미국 공중보건국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절반 이상이 음주를 하며, 약 10%는 알코올 사용 장애(AUD)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결과는 향후 알코올 의존 치료법의 다양화에 있어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