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작위로 두개골 잘라서 바가지로?"…중국에서 발견된 신석기 유골 가공 흔적

중국서 가공 흔적 있는 두개골 52구 발견
종교·의례 아닌 '폐기물' 가능성

전 중국의 신석기 문명에서 사람의 두개골을 정교하게 손질한 유골들이 대거 발견돼 고고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일부 두개골은 마치 그릇처럼 윗부분이 절단돼, 일명 '바가지 형태'를 띠고 있었다.

중국 량주 문화 유적지에서 발견된 가공된 사람 머리뼈. 사이언티픽 리포트

중국 량주 문화 유적지에서 발견된 가공된 사람 머리뼈. 사이언티픽 리포트

원본보기 아이콘

미국 과학매체 '라이브사이언스'와 영국 '피즈오알지(Phys.org)' 등에 따르면, 일본 니가타 의료복지대학의 생물인류학자 사와다 준메이 박사는 중국 동남부 양쯔강 하구 지역에서 출토된 신석기 인골에 대한 연구 결과를 최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발표했다.


문제가 된 유물은 약 5300년에서 4500년 전 사이 번성했던 '량주 문화' 유적지에서 출토된 것이다. 해당 유골은 유적지의 고대 운하와 해자 내부에서 발견됐으며, 모두 183구 가운데 52개에서 인위적 가공 흔적이 확인됐다. 이는 고대 중국에서 인간의 유골이 가공된 사례 중 가장 이르고 독특한 것으로 평가된다.

가공 방식은 다양했다. 일부 두개골은 표면이 연마돼 부드러운 상태였고, 특정 부위에는 작은 구멍이 뚫려 있었다. 앞면이 절단된 형태나, 윗면이 도려내져 바가지처럼 가공된 것도 있었다. 이들 유골은 남녀, 연령에 관계없이 무작위로 선택된 듯한 특징을 보였고, 폭력으로 사망한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 유골들이 사망 후 일정 기간이 지난 뒤에 가공된 것으로 추정했다.


흥미로운 점은 이 같은 가공이 단기간에 끝나지 않았다는 점이다.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이러한 유골 가공은 약 200년에 걸쳐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가공된 두개골의 80%가 미완성이었고, 마치 쓰레기처럼 버려져 있었던 점에서, 이 유골들이 종교적 의례나 권위의 상징으로 쓰인 것과는 거리가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과거 량주 문화의 엘리트 무덤에서는 종교적 의미가 담긴 두개골 컵이 출토된 적이 있지만, 이번 사례는 사용 목적이 명확하지 않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사와다 박사는 "도시화가 진행되며 기존 공동체의 해체와 타자와의 관계 형성이 사람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불러온 결과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의 생물고고학자 엘리자베스 버거 박사도 "이번 발견의 핵심은 이 유골들이 신성하거나 귀중하게 여겨진 것이 아니라, 오히려 폐기된 흔적으로 보인다는 점"이라며 "도시의 성장과 함께 인간 유해에 대한 태도 변화가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