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광주미래교육 포럼'이 17일 오후 2시 광산구 수완문화체육센터에서 교육계 원로와 학부모, 교육 전문가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출범했다. 'The 광주미래교육 포럼'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광주에서 민주주의 가치와 문화·예술, 인공지능(AI)이 조화를 이루는 교육 혁신을 시민들과 함께 모색하기 위한 'The 광주미래교육 포럼'이 17일 공식 출범했다. 이 포럼은 지역 교육계 원로들이 뜻을 모아 추진됐으며, 학교 현장과 학부모,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시민이 함께 만드는 광주 미래교육' 실현을 목표로 발족됐다.
이날 오후 2시 광주 광산구 수완문화체육센터에서 열린 출범식에는 박익수 상임대표(전 전남여고 교장)와 장병훈(전 조대부고 교장)·박인석(전 비아고 교장) 공동대표, 김창현(전 광주교대 총장)·배종용(전 광주시교육청 사회체육과장)·나간채(전 전남대 사회학과 교수) 고문 등 임원진을 비롯해 교육계 원로와 학부모, 교육 전문가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박익수 상임대표는 창립선언문에서 "민주·인권도시 광주가 AI 중심도시로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선도하고 있다"며 "이러한 역사적·시대적 흐름 속에서 교육은 새로운 세대를 준비하는 핵심 동력이 돼야 한다는 사명감이 바로 포럼의 출발점이자 존재 이유다"고 밝혔다. 박 상임대표는 이어 "광주가 대한민국 교육 혁신의 모델 도시로 확고히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쉼 없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축사에 나선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광주 광산을)은 "포럼 출범은 AI 시대 광주 교육의 새로운 길을 선언하는 매우 의미 있는 자리다"고 평가했다. 또 "모든 학생이 공평하게 배우고 각자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최대한 키울 수 있는 포용 교육으로의 전환점을 맞았다"며 "국회 차원에서도 교육이 기술보다는 사람을, 속도보다는 올바른 방향을 더욱 중요하게 여길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The 광주미래교육 포럼'은 앞으로 광주 미래교육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정책 연구와 시민 참여형 학술 활동을 꾸준히 이어갈 계획이다. 단순히 연구와 토론에 그치지 않고, 교육 현장의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는 실천적 과제 수행에도 적극 나설 예정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