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기·난곡·노량진·홍제동 모아타운 4곳 확정…3570가구 공급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 소위원회 안건 통과
"개발 더뎠던 노후 지역, 모아타운으로 개선"

서울 종로구 구기동 100-48 일대 모아타운 예시도. 서울시

서울 종로구 구기동 100-48 일대 모아타운 예시도. 서울시

원본보기 아이콘

서울시는 노후 저층 주거지 개선을 위한 모아타운 사업 4곳을 확정해 총 3570가구를 공급한다고 17일 밝혔다.


시는 전날 제15차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 소위원회에서 '종로구 구기동 100-48일대 모아타운' 외 3건을 통과시켰다.

통과된 안건은 ▲종로구 구기동 100-48번지 일대 모아타운 ▲관악구 난곡동 697-20번지 일대 모아타운 ▲동작구 노량진동 221-24번지 일대 모아타운 ▲서대문구 홍제동 322번지 일대 모아타운이다. 사업이 추진되면 모아주택 총 3570가구(임대 852가구 포함)가 공급된다.


종로구 구기동 100-48번지 일대는 모아주택 2개소 추진으로 기존보다 382가구 늘어난 총 797가구(임대 214가구 포함)를 공급할 예정이다.


해당 지역은 노후건축물 비율이 65.7%, 반지하 주택 비율이 68.6%에 달한다. 주거환경 개선이 필요하지만 자연경관지구 및 고도지구 높이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이 제한됐다.

이번 모아타운 관리계획은 높이 규제를 합리적으로 조정해 자연경관 지구 높이는 최대 4층 16m에서 24m 이하로, 고도지구 높이는 최대 24m에서 45m 이하로 완화했다. 아울러 용도지역도 상향(제1종, 2종(7층 이하)→제2종 일반주거지역)한다. 진흥로22길(5m→10m), 진흥로22나길(4m→8m)도 각각 확폭한다. 보도를 신설해 보행 공간도 확충한다.


관악구 난곡동 697-20일대 모아타운 예시도. 서울시

관악구 난곡동 697-20일대 모아타운 예시도. 서울시

원본보기 아이콘

관악구 난곡동 697-20번지 일대는 모아주택 2개소가 추진돼 총 1056가구(임대 253가구 포함) 주택이 지어진다.


대상지는 사업지 내 단차가 33m에 달해 사업 여건이 어려워 개발이 정체됐다. 이번 모아타운 관리계획은 ▲공공참여시 사업시행구역 확대·임대주택 비율 완화 ▲용도지역 상향(제1종, 제2종(7층)→제2종) ▲정비기반시설 확충(공원·등산로 진입도로 확폭, 사회복지시설 등) 등을 적용해 사업 실현성을 확보했다.


동작구 노량진동 221-24 모아타운 예시도. 서울시

동작구 노량진동 221-24 모아타운 예시도. 서울시

원본보기 아이콘

동작구 노량진동 221-24번지 일대는 총 834가구(임대 192가구 포함) 주택 공급이 예정됐다. 최대 40m에 이르는 단차로 인해 개발이 정체됐는데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이번 모아타운 관리계획은 공공참여시 사업시행구역 확대·임대주택 확보 비율 완화, 용도지역 상향(제2종(7층)→제3종), 정비기반시설 확충(공공청사·공원 등) 등을 적용했다.


경사지와 단차를 반영한 지형 순응형 대지를 조성하고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단차 구간은 주민공동시설과 근린생활시설 등 가로활성화시설을 배치해 입체적 공간으로 조성한다.


이 외에도 공공보행통로와 통경축을 연계해 충분한 개방감을 확보하고, 만양로 변 저층부 배치를 통해 조화로운 도시경관이 되도록 계획했다.


서대문구 홍제동 322번지 모아타운 예시도. 서울시

서대문구 홍제동 322번지 모아타운 예시도. 서울시

원본보기 아이콘

안산과 인접한 홍제동 322번지 일대는 공공참여 모아타운 추진으로 총 883가구(임대 193가구 포함) 규모의 주택 공급이 가능해졌다.


이번 모아타운 관리계획은 ▲용도지역 상향(제1종, 제2종(7층 이하)→제2종 일반주거지역) ▲정비기반시설(도로, 공원 등) 확충 ▲특별건축구역 지정 및 디자인 기본구상을 담았다.


특히 사업 구역 면적이 2만㎡에서 4만㎡까지 확대되고, 용도지역 상향에 따른 임대주택 기부채납 비율도 50%에서 30%로 완화됐다.


교통량 증가와 인근 초등학교 등 주변 여건을 고려해 모래내로24길을 12m에서 18m로 넓히고 공지를 활용한 보도를 조성해 보행 환경을 개선한다. 기존 안산 근린공원의 보행 동선을 반영해 단지 진출입구에서 공원 입구까지 연결되는 폭 10m의 공공보행통로를 설치한다. 신설되는 어린이공원을 기존 어린이공원과 연계해 하나의 놀이 공간으로 대폭 확대한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높이 규제와 경사 지형으로 개발이 더뎠던 노후 지역이 모아타운 사업으로 획기적으로 개선되며 활기를 찾을 것"이라며 "지역주민과 조화롭게 어우러질 수 있는 계획을 통해 쾌적하고 질 높은 주거환경을 확산해 나가겠다"고 했다.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