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모집책 "대중들 개돼지라 금방 잊을 것" 韓 정부 난리에 '코웃음'

경찰 공항 전진배치 비웃는 캄보디아 '장집'
"간다고 우기면 못막아" "정상 영업 중" 공지

"대중들은 개돼지니 금방 잊는다", "잠시 지나가는 태풍일 뿐", "장주(대포통장 명의자)가 간다고 우기면 못 막는다"


최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겨냥한 대규모 납치·감금 사건이 잇따르자 경찰이 인천국제공항 출국장에 단속 인력을 배치하며 출국 관리에 나섰다. 그러나 일부 대포통장 모집책(장집)들은 이러한 움직임을 비웃듯 "정상 영업 중"이라는 공지를 내걸며 여전히 건재함을 과시하고 있다.

"태풍은 곧 지나간다"…단속 비웃는 모집책들
인천국제공항 출국장 게이트에 경찰관이 배치되자 한 텔레그램 '장집' 채널에 올라온 공지. 텔레그램 캡처

인천국제공항 출국장 게이트에 경찰관이 배치되자 한 텔레그램 '장집' 채널에 올라온 공지. 텔레그램 캡처

원본보기 아이콘

경찰은 최근 인천국제공항 출국장에 단속 인력을 상시 배치해, 범죄 연루 가능성이 있는 탑승객을 대상으로 출국 목적과 동선을 집중적으로 확인하고 있다. 실제로 15일에는 "텔레그램에서 알게 된 지인이 항공권을 보내줬다"며 캄보디아로 향하려던 30대 남성의 출국이 제지됐다. 16일에는 출국 목적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 20대 남성이 현장에서 제지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모집책들은 단속을 비웃기라도 하듯 여전히 고수익을 미끼로 자국민을 유혹하는 모습이다. 1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캄보디아로 출국할 대포통장 명의자를 모집하는 한 장집의 텔레그램 공지사항에는 "각자 출국 사유 잘 생각해서 말씀 안 하시면 (출국) 막힌다"는 글이 올라왔다. 이 업체는 재차 공지를 올려 "지금 이러는 중에 간다고? 하시는 분들이 있으실 텐데 저희는 어디 안 간다"라고 일단 안심시켰다. 그러면서 경찰의 단속이 심하니 만약 불심검문에 걸리면 이야기를 잘해야 한다고 안내했다.


다른 업체도 "7일~15일 만에 항공 VIP 서비스, 호텔 독실, 노래방·사우나 등 편의시설을 제공하며 휴대전화도 사용할 수 있다"라며 고수익 미끼를 내걸고 해외로 나갈 '장'(통장) 명의자를 모집했다. '정상 영업 중'이라며 여전히 건재하고 있음을 강조하기도 했다. 한 장집이 운영하는 텔레그램 대화방에서는 "잠시 지나가는 태풍일 뿐", "장주(대포통장 명의자)가 간다고 우기면 못 막는다", "대중들은 개돼지니 금방 잊을 것"이라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출국 단계 선제 차단, 예방 효과 커"
지난 15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탑승구에서 인천국제공항 경찰단 대테러기동대 대원들과 안보팀 관계자들이 캄보디아행 항공편 한국인 승객들을 대상으로 위험방지를 위해 질의응답 등 안전활동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5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탑승구에서 인천국제공항 경찰단 대테러기동대 대원들과 안보팀 관계자들이 캄보디아행 항공편 한국인 승객들을 대상으로 위험방지를 위해 질의응답 등 안전활동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그럼에도 전문가들은 캄보디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납치·감금과 자금세탁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경찰의 공항 전진 배치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황의갑 경기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경찰 차원에서 범죄의 위험성을 알리고, 범죄조직과 연계된 알선 활동을 관리·단속하는 것이 예방 차원에서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캄보디아 경찰 "온라인 사기 가담 한국인 59명 17일 추방"

한편 캄보디아 경찰은 온라인 스캠(사기) 범죄에 가담한 한국인 59명을 오는 17일(현지시간) 추방한다. 캄보디아 국가경찰은 전날 성명에서 "캄보디아 당국에 의해 구조되거나 다른 범죄로 구금된 한국인 59명을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과 협력해 본국으로 추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캄보디아 경찰이 추방 대상으로 밝힌 59명은 한국 정부가 파악한 나머지 61명과 차이가 난다. 앞서 한국 정부는 항공편을 준비하고 있으며 이번 주말까지 이들을 국내로 송환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경찰은 체포영장이 발부된 한국인부터 국내로 데려간다는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서지영 기자 zo2zo2zo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