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협상' 방미 김용범 "건설적 분위기 속 협상…美 '열흘 내 결과' 언급, 나쁘지 않은 신호"

김정관 산업부 장관과 워싱턴D.C. 도착
"국익 부합 협상 타결에 최선"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16일(현지시간) 한미 관세 협상과 관련해 "양국이 지금까지 중 가장 진지하고 건설적인 분위기에서 협상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논의와 관련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 협상할 예정인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오른쪽)이 16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통해 미국 워싱턴D.C.로 출국하기에 앞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연합뉴스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논의와 관련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 협상할 예정인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오른쪽)이 16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통해 미국 워싱턴D.C.로 출국하기에 앞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김 실장은 이날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과 함께 미국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한 뒤 취재진에게 "국익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협상이 잘 마무리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전날 향후 10일 내에 한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결과를 기대한다고 언급한 데 대해 "미국이 많은 양보를 할 것 같지 않냐"라고 되물었다. 이어 "미국이 그렇게 예상하는 건 협상의 중간 점검 차원에서 나쁘지 않은 사인"이라며 "미국이 좀 더 유연하게 우리 입장을 최대한 반영해줬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김 실장은 이날 백악관 예산관리국(OMB) 방문이 양국 간 협상 문구 조정 단계로 접어든 것을 의미하느냐는 질문에는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협상은 김 장관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 하는 것"이라며 OMB 방문은 "두루두루 만나 우리 쪽 입장을 설명하는 그런 맥락"이라고 설명했다.


김 실장은 협상이 김 장관과 러트닉 장관 사이에서 진행된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다만 우리 정부는 지난달 이재명 대통령의 뉴욕 유엔(UN) 총회 참석을 계기로 베선트 장관과 회동하는 등 관세 협상에서 러트닉 장관 외에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내 다양한 채널을 통해 입장을 전달하고 있는 모습이다.

한국이 약속한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와 함께 외환시장 불안을 우려해 우리가 요청한 한미 통화 스와프 체결 협상과 관련해 김 실장은 "우리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고, 미국이 이해했다 정도만 말씀드릴 수 있다"고 밝혔다. 통화 스와프 논의를 둘러싼 보도와 관련해서는 "그냥 아이디어 차원, 한때 제안됐지만 지금은 유효하지 않은 얘기 등이 많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은 한국의 무제한 통화 스와프 요청에는 난색을 보이고 있지만 대신 대미 투자펀드 일부를 원화로 수령하고 이를 담보로 달러를 조달하는 대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끝으로 김 실장은 시간에 쫓겨 원칙을 벗어나지는 않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하며 협상 타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뉴욕=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