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금감원장 "회계법인, 단기이익보다 감사품질 우선해야"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회계법인 최고경영자(CEO)들과 만나 자본시장 신뢰 제고를 위해 감사품질 강화와 회계투명성 확보를 당부했다.



이찬진 금감원장 "회계법인, 단기이익보다 감사품질 우선해야" 원본보기 아이콘

금융감독원은 14일 서울 서대문구 한국공인회계사회 회관에서 '회계법인 CEO 간담회'를 열고 상장법인 외부감사를 담당하는 12개 회계법인 대표들과 소통의 자리를 가졌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 원장을 비롯해 윤정숙 전문심의위원, 최운열 한국공인회계사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찬진 금감원장은 회계 정보가 시장 참여자의 합리적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자본시장의 핵심 인프라라고 강조하며 "회계정보가 신뢰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제삼자의 객관적 검증이 필요하며 이를 외부감사제도로 구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회계법인의 공공적 책무가 크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감사품질 중심의 시장질서 정착을 요청했다. 그는 "회계법인의 진정한 경쟁력은 '단기 이익' 추구보다, 감사품질에 기반한 '장기적 신뢰' 구축을 통해 확보된다"며 "보수 위주의 과도한 경쟁으로 감사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인력 운용, 보상 체계 등에 있어 품질을 우선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건전한 지배구조 아래 확고한 독립성 확보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구성원 이익에 매몰되지 않고 감사품질·공익을 핵심가치로 의사 결정하기 위해 실효성 있는 경영진 견제기구를 구성해야 한다"며 "감사인과 관계된 '네트워크 회계법인'의 비감사용역 수행 등으로 독립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 원장은 분식회계에 대한 엄정 대응 의지도 밝혔다. 금감원은 고의적·장기적 회계 부정에 대한 과징금을 상향하고, 경미한 위반이 반복될 경우 내부회계 감사 조치를 강화할 계획이다. 그는 "회계 위반을 발견한 경우에는 수정뿐 아니라 원인과 과정을 끝까지 따져 내부통제의 취약점이 있는지를 점검해야 한다"며 "고의적 분식회계에 가담하거나 이를 묵인·방조한 회계법인은 엄정한 제재로 상응하는 책임을 부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투자자 관점에서의 감사 수행과 디지털 감사 혁신의 중요성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그는 "감사보고서는 기업과 자본시장을 잇는 소통의 창구이며, 기업의 객관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핵심 수단"이라며 "복잡한 금융상품과 신산업 분야 등에 대해서는 투자자와 금융소비자 보호 차원에서 더욱 철저히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분석 등의 기술을 감사목적에 맞게 활용할 경우 반복 업무 자동수행, 검증범위 전수 확대 등으로 감사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며 "데이터보안과 인적자원 개발에도 힘써 균형 잡힌 감사 혁신을 추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유현석 기자 guspow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