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매매, 하루 한명 사망, 소각장 처리" 캄보디아 웬치 끔찍한 증언

캄보디아 범죄단지 '웬치' 실태
한국인 자금세탁·사기 인력으로 동원돼
단속 피해 인접국으로 이동

이른바 '웬치'로 불리는 캄보디아의 범죄단지에서 고문·폭행으로 하루에 한 명꼴로 사망자가 발생한다는 증언이 나왔다.


캄보디아 한 범죄단지의 내부 모습. 남성의 손이 철제 침대에 묶인 것으로 추정된다. 연합뉴스, 독자제공

캄보디아 한 범죄단지의 내부 모습. 남성의 손이 철제 침대에 묶인 것으로 추정된다. 연합뉴스, 독자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14일 연합뉴스는 캄보디아 범죄단지에서 일한 경험이 있거나 이들의 지인들을 취재한 결과, 단지 내에서 손톱을 뽑거나 손가락을 자르는 등 가혹행위가 이뤄지고 돈을 받고 다른 단지로 사람을 넘기는 인신매매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범죄단지의 규모는 제각각이며 그 안에서는 로맨스 스캠·비상장주식·해외선물·공무원 사칭 보이스피싱 등 각종 범죄가 벌어지고 있다. 한 관계자는 캄보디아에는 400여개의 범죄단지가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또 다른 증언자 A씨는 "한국인이 필요한 이유는 두 가지"라며 "범죄단지의 수익을 세탁해 주거나, 한국인 대상 사기에 텔레마케팅·채팅·고객 응대 업무를 맡기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특히 프놈펜·시아누크빌과 달리 국경지대에 있는 포이펫, 바벳 등은 캄보디아 내에서도 가장 위험한 지역으로 꼽혔다. 캄보디아에 거주하는 B씨는 "프놈펜이나 시아누크빌에서 일하다가 실적이 좋지 않거나 카지노에서 빚이 생기면 포이펫이나 바벳 같은 국경 지역으로 팔려 간다. 그런 사람들이 정말 많다"고 말했다.

캄보디아 이민국 구금시설의 내부 모습. 연합뉴스, 독자제공

캄보디아 이민국 구금시설의 내부 모습. 연합뉴스, 독자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캄보디아에 갔다가 지난 8월 숨진 대학생 박모씨가 머물던 보코산 지역에 대해서는 "통상 통장을 팔러 가는 곳이고, 그러다 그곳에 갇혀 불법적인 일을 하게 되거나 심하면 목숨을 잃는다"고 했다.


범죄단지에서 폭행으로 숨지는 사례가 드물지 않고 일부 관리자의 경우 이를 자랑거리로 여긴다는 증언도 전해졌다. B씨는 "폭행 당해서 숨지는 일이 드문 일은 아니다. 하루에 한 명꼴로 죽는다. 캄보디아는 그런 곳"이라며 "한국인만 표적이 되는 건 아니고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중국 등 국적은 다양하다"고 했다.


또 "이들은 계속 맞다가 몸이 안 좋아져서 숨지기도 하고 일을 시키다가 실적을 못 내면 때리기도 한다"며 "통장을 팔러 왔는데 그 통장이 (지급정지로) 잠기면 손가락을 모두 잘라버리는 경우도 있다"라고 설명했다.


폭행당한 피해자가 숨지면 소각장에 넣어 처리한다는 증언도 나왔다. A씨는 "시체 처리할 일이 많다. 돈 사고 내는 사람이 한두명도 아니니까. 일을 시켜도 성과가 없고 장기매매도 못 하면 그냥 소각장으로 넣는 것"이라고 했다.


다만 범죄단지에서 근무한 다른 증언자는 "쓰레기를 태우는 것이다. 과장된 소문"이라고 했다. B씨도 "소각장에서 사람을 태운다는 이야기는 들어본 적 없다"고 말했다.

보이스피싱 등 범죄를 저질러 피해금을 가로채는 일로 '성과'를 내지 못하거나 빚을 진 사람들에게 장기 적출을 강요한다는 증언도 있었다.


최근엔 캄보디아 주요 단지에 집중적으로 이목이 쏠리면서 캄보디아 주요 단지들이 태국·라오스·말레이시아 등 인접국으로 옮겨가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프놈펜 인근의 망고단지와 태자단지도 정부 단속이 강화되자 활동을 자제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외곽의 국경지대에서는 여전히 새로운 단지가 사람을 모으며 범죄 조직을 확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