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나영 세종시의원 "인구 감소의 경고, 육아친화도시로 진화할 때"

행정수도 세종 만큼 중요한 과제 출산율 확대
자녀 양육 세대 위주의 인구 감소 극복 정책 촉구

국민의힘 소속 홍나영 세종시의원

국민의힘 소속 홍나영 세종시의원

원본보기 아이콘

전국적으로 출산율이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세종시만 유일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세종시가 여성친화, 아동친화도시인 만큼, 이 같은 강점을 살려 육아친화도시로 획기적인 정책을 추진해야 출산율을 높일 수 있다는 목소리다.


홍나영 세종시의원이 "세종시는 젊은 도시의 상징이었지만, 최근 인구가 처음으로 감소한 충격적인 상황에 직면했다"며 "지금이야말로 인구 감소의 경고를 엄중히 받아들이고 육아친화도시로 진화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13일 열린 세종시의회 제101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자유발언에 나선 홍 의원은 영유아와 자녀 양육 세대가 빠져나가는 세종시 인구 통계를 우려했다.


홍 의원은 "자녀와 함께 살기 어려운 환경과 출산, 육아 정책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지적하고, "세종시는 더 이상 성장의 관성에 안주할 수 없으며, 진화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특히 인천은 1억 드림, 천원 주택 등 파격적 지원으로 순 이동률 플러스를 기록하며 영유아 인구와 양육 연령층이 증가한 인천과 전국 최초의 318정책을 도입해 올해 2분기 합계출산율 1.0명을 넘기며 세종시를 제치고 전국 1위를 차지한 전남 사례를 설명한 홍 의원은 "전국적으로 출산율이 상승하는 가운데 세종시만 유일하게 감소했다"며 "대규모 개발 위주의 정책에만 치중해 지역 정주 인프라를 소홀히 한 결과"라고 진단했다.

제주도의 '육아친화도시' 정책을 사례로 들어 "임신과 출산 기반 확충, 공공돌봄 확대, 직장 내 유연근무제, 아버지의 육아 참여 확대 등 사회 전반이 함께 참여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며 "세종은 여성친화, 아동친화도시라는 강점을 살려 육아친화도시로 확장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보육 인프라 부족과 돌봄 공백으로 가정들이 세종을 떠나는 현실을 더는 외면해서는 안 된다"며 "세종은 행정수도로서 공직사회가 선도적으로 일, 가정 양립 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는 최적의 도시"라고 강조했다.


따라서 정책 전환의 시점임을 강조했다. ▲육아친화도시 세종 비전 선포 ▲임신·출산·보육·교육·일자리·주거지원 강화 ▲공공·기업·학교·지역사회가 함께 참여하는 '세종형 돌봄 협력 모델' 구축 등이 제안됐다.


홍 의원은 "청년들에게 세종에서 정착해 아이를 낳고 기르는 일이 기쁨으로 다가와서 부모와 아이가 함께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기를 바란다"며 "세종시는 진정한 육아친화도시로 발전해 대한민국 육아 정책을 선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충청취재본부 김기완 기자 bbkim99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