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가 역대급 강세를 보이고 있으나 항공주들은 소외된 채 부진한 주가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경쟁 심화와 경기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성장이 정체된 상황이어서 당분간은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해 보인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진에어 , 제주항공 , 에어부산 은 나란히 장중 52주 신저가를 기록했다. 진에어는 전일 1.42% 하락한 7660원에 마감했다. 장중 7650원까지 하락하며 52주 신저가를 다시 썼다. 연초 1만원대였던 진에어의 주가는 올들어 꾸준히 하락하며 7000원대로 떨어진 상태다. 제주항공은 장중 6130원까지 하락하며 52주 신저가를 기록했고 에어부산도 장중 1861원까지 하락하며 역시 52주 신저가를 경신했다.
대한항공 과 아시아나항공 도 부진한 주가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대한항공은 최근 한 달간 7.95% 하락했다. 같은 기간 아시아나항공도 5% 넘게 내렸다.
올해 3분기 실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이란 전망이 주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대한항공의 올해 3분기 실적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매출액 전년 동기 대비 35.83% 증가한 6조3506억원, 영업이익 7.47% 감소한 6160억원이다. 아시아나항공의 매출액은 1조855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8%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760억원으로 57.01%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진에어는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40.3% 감소한 240억원, 제주항공은 63.87% 줄어든 168억원, 에어부산은 60% 감소한 150억원으로 모두 큰폭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강성진 KB증권 연구원은 "운송업종 주가가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것은 이익 성장의 분명한 축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라며 "이와 같은 투자자들의 우려는 운송업체들의 3분기 실적시즌에도 크게 개선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양승윤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항공운송 산업은 코로나19의 긴 터널을 뚫고 정상화됐다. 이제는 과거 고점인 2019년을 넘어 성장 국면으로 나아가야 하는 상황이나 주어진 여건이 녹록지 않다"면서 "가까운 유럽으로 선호되던 러시아 노선이 아직 닫혀있고 동남아 노선은 과거 대비 수요가 부진하며 일본은 수요가 좋았지만 정체되고 있고 그나마 기대해볼 수 있는 것은 견조한 미주 조선과 아직 회복 중으로 업사이드가 남아있는 중국 노선 정도"라고 분석했다. 이어 "가격은 공급이 정상화되고 경쟁이 심화하면서 하방 압력을 받고 있고 매출은 경기 불확실성 확대 국면 속 성장이 정체됐으며 비용은 물가 상승 기조에 따라 인건비, 공항 이용료 등 상승 압력이 작용하며 수익성이 점차 악화할 수밖에 없는 구간에 진입했다"고 덧붙였다.
견조했던 미주 노선도 미국의 이민 정책 강화로 불안한 상황이다. 강 연구원은 "미국의 강경한 불법 이민자 단속이 한국인들의 미국 여행 및 미국 소재 한인들의 한국 방문 수요를 떨어뜨리고 있다"면서 "한국의 대미 투자가 증가하면서 원·달러 환율도 다시 상승했다. 항공여객 업황에 대한 전망을 부정적으로 전환할 수밖에 없다"고 짚었다.
전반적으로 업황이 부진한 상황에서 저비용항공사(LCC)보다는 대형항공사(FSC)의 상황이 그나마 나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양 연구원은 "한국과 미국 항공시장의 수익성을 보면 FSC와 LCC 사이에 온도차가 존재하는데 LCC는 지속적으로 수익성이 악화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FSC는 상대적으로 견조한 수익 체력이 유지되는 모습"이라며 "그럴 수 있는 가장 큰 요인으로 프리미엄 수요 확대를 꼽을 수 있다"고 말했다.
대한항공의 경우 4분기에는 실적 회복세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배세호 iM증권 연구원은 "단거리 중심의 경쟁 강도 강화와 전년 추석 연휴 기저 효과 그리고 화물 부문 부진으로 대한항공의 3분기 실적은 저조할 것으로 예상되나 방한 중국인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고 10월 연휴시즌 고려 시 여객 실적은 이르면 4분기에는 반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단기적인 실적 둔화와 화물 부문 불확실성이 지속되며 최근 주가 흐름은 부진하나 중장기적으로 장거리 부문 수익성 강화, 항공우주사업 부문 경쟁력 증대 등의 투자 포인트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덧붙였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