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규백 국방부장관은 13일 최근 미국 측이 중국에 대응하기 위한 다자 간 협력을 강조하고 있는 것과 관련 "대한민국 입장에선 한반도와 북한 위협에 대해 최우선적 목적을 두고 거기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 장관은 이날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국방부 국정감사서 강대식 국민의힘 의원의 관련 질의에 "미국 입장에서는 인도 태평양 지역의 여러 가지 요소에 대해 함께 대응해야 하지 않느냐고 생각하는 것으로 이해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안 장관은 또 주한미군 전력 현대화의 주목적과 관련한 질의에도 "한반도 대북 억지력에 목적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 이상은 깊이 생각지 않고 있다"고 했다. 이어 대니얼 드리스콜 미 육군장관이 최근 방한해 주한미군이 중국·북한 위협에 모두 대응해야 한다고 언급한 것과 관련해서도 "그 말엔 동의할 수 없다"고 했다.
안 장관은 아울러 최근 중국이 선보이는 전략무기가 한미동맹에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질의엔 "중국이 전승절 때 보인 신무기 체계에 대해 한반도나 역내에 여러 가지 복합적 위협 요소인 것은 당연하고 거기에 대해 대비도 하고 있다"고 답했다.
안 장관은 최근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9·19 군사합의의 선제적 복원을 위해 사격훈련·실기동훈련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정부 입장이냐고 묻는 임종득 국민의힘 의원의 질문엔 "그렇지 않다"면서 "한목소리(원 보이스)를 낼 수 있도록 부처 간 유기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안 장관은 국군 방첩사령부 개편과 관련, 방첩 기관 수장을 문민화할 계획은 없느냐는 질의에는 "아직 그 단계까지는 정리하지 않고 있다"면서 "이번에 민관군 합동위원회에서 합리적인 안이 나올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