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로 전소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시스템 중 대구로 이전해 복구될 20개 시스템이 선정됐다. 나머지 시스템들은 대전 본원 내 전산실과 장비를 활용해 복구할 방침이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13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1전산실부터 6전산실에 위치한 시스템 중 5층 화재와 무관한 시스템은 지난 5일에 복구를 완료했다"며 "5층 7전산실, 7-1전산실과 관련된 미복구 시스템은 백업 데이터와 기존 시스템 등을 활용해 복구를 진행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5층에 위치한 8전산실의 경우 분진 제거와 전원 공사 작업을 지난 11일 완료해 전기 공급이 재개됐지만, 다수 시스템이 7전산실 장비를 활용해 즉시 복구는 어렵다"며 "7전산실 장비에 저장된 데이터 등을 우선 복구한 후 시스템도 순차적으로 복구하겠다"고 했다.
국정자원 대구센터 민관협력 클라우드로 이전할 시스템도 선정됐다. 김 1차장은 "분진과 화재 피해를 직접 입은 7, 7-1전산실 시스템은 장비 수급 상황 등을 고려해 대구센터로 이전하거나 대전센터 내 타 전산실로 이전하게 된다"며 "협의 과정 중에 늘어날 가능성은 있으나 현재 기준 대구센터로 이전할 대상 20개를 선정했고, 일부 시스템은 민간 클라우드사 소관 부처와 협의를 완료해 이전을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대구센터로 이전하지 않는 시스템은 대전센터 내 타 전산실에 장비를 설치한 뒤 순차적으로 이전할 계획이다.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은 "신규 장비를 15일까지 입고해 (기존 전산실과) 동일한 환경을 구성하고 7, 7-1전산실 서비스 복구를 시작할 것"이라고 했다.
이날 낮 12시 기준 국정자원 화재로 중단됐던 709개 시스템 중 260개(36.7%)가 복구됐다. 국민이 많이 이용하는 1등급 시스템은 40개 중 30개가 복구됐다. 아직 정상화되지 않은 10개 시스템은 ▲통합보훈(보훈부) ▲국민신문고(권익위) ▲국가법령정보센터(법제처) ▲공공테이터포털·국민비서 홈페이지·국민비서 알림서비스·안전디딤돌·재난관리업무포털 통합상황관리·문서24·주민등록증 모바일확인서비스(행안부) 등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